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구한말 운요호 사건이 일어난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876년 구한말 운요호 사건이 일어나는데요 이운용 사건으로 조선사회의 여러가지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운요호 사건 일어난 기기가 무엇인지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운효호 사건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19세기 국제사회는 제국주의가 팽배해 있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강대국이 무력을 앞세워 후진국을 압박하여 개항을 유도하거나 침략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일본은 1854년 미국의 포함외교(포함을 앞세운 무력시위로 상대국을 압박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강제적 외교 수단)에 바로 굴복하고 개항(개국)하였습니다. 그 후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근대화 개혁을 단행한 후, 조선과의 교섭을 시도하였으나 흥선대원군의 양이정책으로 실패하였습니다. 그러나 1873년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친정을 하게 되면서 개국의 분위기가 일어났습니다. 한편, 일본은 정한론의 일환으로 조선과의 수교를 좀 더 신속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함외교를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운요호 사건 >

      일본 군함 운요호가 1875년 9월 20일 조선 해안을 탐측하기 위해 왔다고 핑계를 대고 강화도 앞바다에 불법으로 침투하여 해안 경비를 서던 조선 수군의 방어적 공격을 받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함포공격을 가하고 영종진에 상륙하여 조선 수군을 공격하고 인적,물질적 피해를 입히고 퇴각한 사건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운요호사건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기 위한 전초전으로 의도적으로 일으킨 포함외교의 한 형태이며, 이는 그들이 22년 전에 미국에 당한(배운) 것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국력이 약한 결과 불법침입자에 대한 정당한 방어적 공격도 보복당하여 그 책임을 조선에 묻고 강제로 수교하였다. 이것은 일본 제국주의 대륙침략의 단초(端草)였으며 신호탄이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세기 국제사회는 제국주의가 팽배했던 시대로 강대국이 무력을 앞세워 후진국을 압박하여 개항을 유도하거나 침략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일본은 1854년 미국의 포함외교에 바로 굴복하고 개항했고 그 후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근대화 개혁을 단행한 후 조선과의 교섭을 시도하나 흥선대원군의 양이정책으로 실패합니다. 그러나 1873년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친정을 하게 되면서 개국의 분위기가 일어나는 한편 일본은 정한론의 일환으로 조선과의 수교를 좀 더 신속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함외교를 시도합니다.

      이에 일본은 영국에서 수입한 근대식 군함인 운요호를 부산에 침투, 부산훈도 현석운이 부산의 왜관을 찾아가 군함을 침투시킨 이유를 묻자 운요호 함장 이노우에 요시카는 조선과의 수교 교섭이 지연되는 이유를 일본의 이사관에게 물으러 왔다고 거짓으로 설명하고 오히려 현석운을 군함에 승선시켜 함포사격 훈련을 구경시키는 등 군함의 위력을 과시합니다.

      운요호는 조선 해안을 탐측하고 연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구실을 대며 동해안을 순항하고 다시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을 거슬러 강화도 앞 난지도에 도착하였고 함장 이노우에 요시카는 일본군 수십명을 데리고 담수 보급의 명목으로 작은 보트를 타고 강화도 초지진으로 접근, 이때 해안 경비를 서고 있던 조선수병은 예고도 없이 침투하는 일본군 보트에 포격을 가하고 이에 일본군은 모함으로 되돌아가 함포로서 조선에 보복 포격을 합니다.

      그리고 영종진에 상륙해 조선수군과 격전을 벌여 근대 무기로 무장한 일본군이 조선군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무기도 다량 탈취, 주민에 대한 방화, 살육 후 퇴각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메이지유신으로 근대화에 성공한 후 조선과의 교섭을 시도했으나, 흥선대원군의 반대로 번번히 실패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일본은 영국에서 수입한 근대식 군함인 운요호[雲揚號]를 부산에 침투시켰습니다.

      운요호는 조선 해안을 탐측하고 연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구실을 대며 조선 해역을 순항했고, 갑자기 일본군 수십명을 데리고 담수 보급의 명목으로 작은 보트를 타고 강화도 초지진으로 접근하였습니다. 이때 해안 경비를 서고 있던 조선 수병은 예고도 없이 침투하는 일본군 보트에 포격을 가하였고, 일본이 대응 사격하면서 격전이 벌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75년 조선 왕조 후기 때 일본 해군의 군선(軍船)인 운요호(雲揚號, 운양호)가 조선 해안 탐사를 빙자해 강화도와 영종도를 습격하고 양민 학살과 주변 방화 등의 만행을 저지른 후 물러간 사건으로 강화도 조약의 시초격인 사건이기도 하다.



      봉건적인 막부 체제가 막을 내리고 메이지 유신이 선포되면서 일본에서는 이를 계기로 근대화 분위기가 장식됨과 동시에 1592년 임진왜란 이후 조선 침략에 대한 노골적인 망상이 고개를 들면서 이에 힘입어 정한론 (정한론을 주장한 사람이 바로 사이고 다카모리이다.) 까지 가세하게 되자 침략목적으로 조선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이미 1854년 쿠로후네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 문호 개방을 선포했던 일본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들과 함께 조선에 '선린우호(善隣友好)'를 운운하면서 상호 통상을 요구하기도 하였지만 흥선대원군의 쇄국 정책(또는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반양(反洋) 정서로 인하여 실패만 거듭했다가 흥선대원군이 최익현의 탄핵 상소로 하야 해 물러나고 고종이 친정(親政)을 하자 이를 계기로 조선의 침략을 위해 군선(軍船)인 운요호를 부산으로 밀파한다.


      그것도 자신들이 쿠로후네(미국 페리제독)사건 때 당했던 방식 그대로 차용해서 거의 똑같이 늑약(勒約)이라 할 정도로 근대적이고 불평등한 조약을 체결하게끔 하였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메이지유신(明治維新)으로 근대화한 일본은 대륙침략을 위한 첫 단계로 정한론(征韓論)을 내세우며, 한반도를 침략할 기회만을 노리고 있었다.


      그런데 사이고(西鄕隆盛)와 같은 급진파는 당장 조선정벌을 주창하고 나섰다. 반면 이와쿠라견외사절(岩倉遣外使節)로 구미 각국을 순방하고 귀국한 기도(木戶孝允)·오쿠보(大久保利通)와 같은 온건파는 점진적 정한론을 내세우며 급진파를 견제하였다.


      이에 일본정부는 조선정벌을 보류하고 호전적 무사계급의 불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1874년 5월 대만정벌을 단행하였다. 일본의 군국적 침략정벌을 당한 청나라는 일본이 장차 한국정벌을 단행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일본의 한반도 침략을 경고한 자문(咨文)을 조선정부에 보냈다.


      자문에서 청나라는 프랑스제독 지켈(Giquel,P.M.)의 의견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경고하였다. “일본이 5,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대만정벌을 수행한 뒤 나가사키에 주둔 중이며, 장차 조선을 정벌하려 한다. 프랑스·미국도 조선과의 관계가 미해결상태(병인양요·신미양요)로 있기 때문에, 조선이 서둘러 프랑스·미국 등과 통상관계를 체결한다면 일본은 고립되어 감히 동병(動兵)하지 못할 것이고, 따라서 한반도의 안보가 보장된다.”는 것이었다.


      청나라의 자문을 받은 조선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대일교섭의 당국자인 동래부사·부산첨사 등 대원군 일파를 파면하였다.


      한편, 조선정부에도 정치적 변화가 일어났다. 그토록 강경한 쇄국양이정책(鎖國壤夷政策)을 고수하던 대원군이 실각하고, 1873년 12월부터 고종의 친정(親政)이 시작되면서, 민씨척족세력이 집권하기에 이르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