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진인사대천명
진인사대천명22.01.09

수면을 취하려 하면 잠을 깊이 잘수가 없습니다

잠을 자려고 누우면 1시간30분 정도 지나면 1시간정도 후부터 화장실을 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잠을 깊이 잘수가 없어 너무 힘이 들어요

어떻게 하면 화장실을 가지 않고 잠을 잘수 있을까요

이렇게 잠을 못잔게 언...,.7년 정도 된거 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동설 심리상담사입니다.

    남성인지 여성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남성이라면 비뇨기과에 꼭가서 의사의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심리적 문제일수도 있지만 생리적인 문제로 전립선관련일수 있으니 꼭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받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약 이것 때문에 너무 고통스러우시면 병원에 한 번 내원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냥 일반병원도 좋고 심리상담 병원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석 심리상담사입니다.

    잠을 청하는 것에서 어려움이 보여보입니다.

    잠에 얼만큼 빨리 드시는 지 잘 모르겠지만 수면이 안온다고 수면제를 먹는거면 비추천합니다.

    수면제로 인하여 두통이 동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된 수면장애가 있지 않는 이상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가벼운 운동 등을 밤마다 하면서 체력적인 소모로 인하여 잠에 취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건강과 수면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침대에 누으면 핸드폰을 멀리하고 다른 생각을 줄이면서 눈을 감고 마음을 비우는 것이 좋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위와같은 강박사고를 수정하기 좋은 것은 불안감을 없애는것입니다

    이러한 불안감을 없애는것중 좋은것은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것을 인지하는 것입니다

    내가 화장실을 가는것은 수면중에 실수를 할까봐 두려움때문입니다

    허나 한번쯤 실수를 해도 괜찮다는 마음으로 수면을 취하는것이 도움이 될수있습니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성인용 기저귀를 준비하여 착용하고 주무시고 중간에 깨더라도 실수해도 됀다는 마음을 가지고 그냥 자는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것을 꾸준히 하다보면 화장실을 가지 않고도 잠을 잘수있고 괜찮다는것을 인지할수있어 점차적으로 수정이 될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잠을 못 잘 정도로 화장실을 자주 간다면 방광이나 비뇨기계 쪽에 문제가 생긴 건 아닐까요?

    그건 심리적인 문제로 화장실을 자주 갈 수도 있고 신체적으로 문제가 생겨서 화장실을 자주 갈 수도 있습니다.

    심리적인 문제라면 그 원인을 스스로 찾아 해결할 수 있으면 해결하시고

    신체적인 문제라면 비뇨기과나 부인과를 찾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장실을 가는 습관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자기전에 미리 소변을 보는 식으로 화장실을 가게되는 원인을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면 심리상담사 비다입니다.

    잠을 잘 못자게 된 원인이 분명히 있습니다. 불안과 걱정이 많아서 계속 생각이 많아지기 때문에 잠에 들기 힘든 것입니다. 억눌려있는 부정적인 감정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해소해주시면 편안하게 잘 수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 불면증에 관한 글이 있으니 한번 읽어보세요. https://blog.naver.com/331197leti/222612007578

    불면증으로 영상 검색해보셔도 좋은 정보 많이 얻으실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점숙 심리상담사입니다.

    스트레스, 불안감, 우울증은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 됩니다. 잠이 안 온다고 수면제를 넘는 경우가 많은데, 남용하면 의존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잠을 못 잘 때는 무작정 수면제를 찾지 말고 잘못된 수면습관을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수면습관을 위한 방법으로 수면위생 돌보기 방법, 자극제어법, 수면제한법 등이 있습니다.

    수면위생 돌보기 방법에는 / 졸리지 않으면 눕지 말기 / 졸릴 때 눕기 / 침대에서는 책읽기, TV시청 등을 피하고 잠만 자기 / 커피, 담배, 술 끊기 / 낮잠 줄이기 / 적절한 운동 / 밤에 TV나 라디오 멀리 하기 / 자기 전 미지근한 물로 목욕하기 / 과식하지 않기 / 이완요법(복식호흡) 배우기 / 편안한 잠자리 마련 등이 있습니다.

    자극제어법은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기 / 낮에 침대에 누워 있는 시간을 줄이기 / 필요하면 30분 이내로 눕기 / 잠이 오지 않으면 약 20분 정도 거실에 나가 있기 / 잠이 온다면 침실로 들어가기 / 잠이 오지 않으면 다시 거실로 가기 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기전 수분섭취를 최대한 하지 않으시는 것이 가장중요할 것 같습니다

    될 수 있으면 아예 음식물 섭취를 안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숙면에서 심리적 요인이 차지하는 부분도 분명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어떠한 심리적 요인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따른 숙면의 방해가 아닌

    단순 생리적 현상으로 인한 숙면의 방해라면,

    비뇨기 계통의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 보시는게 더 빠르고 나은 선택이 되실 수 있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