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셰방식과 라스파이레스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흔히 물가지수를 나타낼때, 파셰방식과 라스파이레스 방식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사과를 비유하면,
1 만원으로 사과를 얼만큼 살수 있냐? vs 사과 한개는 얼마냐?
이런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라스파이레스 방식은 쉽게 생각하면 '과거의 것을 현재 물가 기준으로 본다면?'이라는 질문의 대답이고 파셰 방식은 '지금의 것을 과거의 가격에 구입했다면 얼마나 될까?'라는 접근 방식입니다. 해당 방식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스파이레스 방식
기준연도와 같은 수량의 상품을 비교연도의 가격으로 구입했을 때 지출총액을 기준연도 지출총액으로 나눠 물가 움직임을 확인
파셰 방식
기준시점 값과 비교시점 값의 가중 평균값으로 계산
말만 들으면 어려운데 질문자님이 말씀주신 예로 보면 현재 '1만원'으로 사과를 10개를 살수 있다고 하는 것는 라스파이레스 방식이며, 지금 사과 10개의 가격은 옛날에 구입했다면 3천원이다라는 것을 파셰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aasche 및 Laspeyres 가격 지수는 시간 경과에 따른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율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Paasche 가격 지수는 특정 그룹 또는 인구의 현재 소비 패턴을 나타내는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 가격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반면에 Laspeyres 가격 지수는 과거 특정 시점에서 특정 그룹이나 인구의 소비 패턴을 나타내는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 가격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Paasche와 Laspeyres 가격 지수의 차이를 사과 비유를 사용하여 설명하기 위해 10,000원이 있고 이 금액으로 얼마를 살 수 있는지 알고 싶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파쉐 물가지수를 이용하면 사과를 포함해 현재 소비하고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바구니 가격을 계산해 현재 시세를 기준으로 1만원으로 얼마를 살 수 있는지 판단하게 됩니다. 라스파이레스 물가지수를 이용하면 사과를 포함해 과거 특정 시점에 소비한 재화와 서비스의 바구니 가격을 계산하고 그 가격을 기준으로 1만 원으로 얼마를 살 수 있는지 결정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Paasche 가격 지수는 Laspeyres 가격 지수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라스파이레스 지수(L)와 파쉐 지수(P)간의 큰 차이점은 가중치 에 있습니다. 즉 라스파이레스 지수는 일정한 기준시점의 가중치 구조 가 계속 유지되나, 파쉐 지수는 시점에 따라 가중치가 변하여 현재 시점의 가중치가 적용된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