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너는나를존중해야만한다나는
너는나를존중해야만한다나는

혹시 림프종일수도 있을지 너무 걱정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0대

지난 6월 17일, 오른쪽 귀 아래 턱뼈 시작하는 부근 뒷쪽 쯔음에 멍울이 만져지기 시작했고(이전에는 만져진 적 없었습니다), 이에 6월 18일 인근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초음파 검사를 받았습니다.

초음파 결과 임파선이 두 개가 붙어서 커진 상태라고 하였고, 크기가 좀 크긴 하지만 초음파 상으로 보았을 때에는 세균 감염으로 인한 것이지 나쁜 것은 아닌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항생제나 소염제 등은 따로 처방받지 않았습니다.

현재 약 2주 반 가량이 지났음에도 해당 멍울이 작아지거나 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넷에 림프종을 검색해보면 발열, 식은땀과 같은 전신증상과 멍울을 만졌을 때 고무공같이 느껴지는 것이 주요 증상이라고 하던데, 제 경우 전신증상은 없고 만졌을 때 이리저리 움직이긴 하나 말랑하다기 보다는 고무공 같은 느낌에 가깝습니다. 멍울을 눌렀을 때 통증 역시 처음 며칠 간은 있다가 현재는 통증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외에는 하루에 한 두번씩 편도에 욱싱거리는 느낌과 같은 쪽 귀 안쪽이 쿡쿡 쑤시는 듯한 느낌이 있습니다(두 증상 모두 빈도 수가 많지는 않습니다).

물론 초음파 결과로는 별 말씀 안하셨지만 그래도 인터넷에 림프종 증상이라고 나오는 것과 일부 겹치는 것이 있어 너무 걱정됩니다. 혹시 림프종이 아님에도 세균 감염에 의한 반응성 림프절 비대가 몇 주, 혹은 몇 달간 지속될 수도 있나요?(항생제 등의 복용이 없을 때)

저와 같은 경우도 림프종 의심 증상으로 볼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귀 아래 턱뼈 부근에서 느껴지는 멍울로 걱정이 많으실 것 같아요. 초음파 검사 결과에서 임파선이 두 개가 붙어서 커진 상태라는 점과 더불어 세균 감염으로 인한 반응성 림프절 비대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을 들으신 듯합니다. 일반적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림프절이 커질 수 있으며, 염증이 가라앉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림프절이 커진 후 몇 주 또는 몇 달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때때로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나 소염제 같은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 염증이 천천히 회복될 수 있습니다. 현재 전신증상이 없고, 멍울을 만졌을 때 고무공 같은 느낌이 들지만 통증이 줄어들었다는 점과 함께 초음파에서 특별한 경고음을 듣지 않으셨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로서는 심각한 문제로 보이지 않지만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편도와 귀의 욱신거림 등 다른 증상들도 세균 감염에 의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넷 정보가 불안감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명확한 것을 평가하기 위해서라면, 조직검사가 요합니다. 이미 피부에 대해서 만져지는 멍울 양상이 있다면, 그리고 적절한 대증치료를 시행하였음에도 크기가 작아지지 않았다면, 이에 대핸 조직검사 요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보다 적절한 평가 시행하기 위해서, 내과 내원 및 필요시 진료의뢰서 통한 상급병원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