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전공전궤도가 원궤도가 되는경우.
행성에 관한 유튜브 동영상을 보다가 행성의 공전궤도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는데요
행성의 공전궤도가 희박한 확률로 원궤도가 될 수 있다는데 어떤 경우에서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의 공전궤도가 원궤도가 되는 것은 희박한 확률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행성의 초기 조건과 그 후의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결정됩니다.
행성의 공전궤도는 초기에 형성되는 행성계의 가스와 먼지 구름의 축적과 중력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여 공전궤도의 형태가 결정됩니다.
정확한 공전궤도 형태를 예측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이며,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다양한 공전궤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접한 행성이나 위성들과의 중력 상호작용, 태양 풍, 기체의 간섭 등이 공전궤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행성의 공전 궤도가 원형이 되는 경우는 매우 특이한 경우로 이는 희박한 확률로 가능합니다.
이는 초기 우주에서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때, 중력에 의해 군집을 형성하며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 자는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가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형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런 원형 궤도 운동이 가능한 이유는 각운동량과 중력퍼텐셜 에너지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원형 궤도를 가진 천체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천체는 타원형 궤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케플러의 법칙과 만유인력 법칙에 따라 결정되며, 이 법칙들은 천체의 초기 조건과 중력 상호작용에 의해 천체의 궤도가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이 별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형성되었을 경우 행성의 공전궤도는 원궤도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행성의 공전궤도가 별의 중력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