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호화로운호박벌145
호화로운호박벌14523.01.31

우주의 크기가 궁금합니다. 지구를 빗대어 얼마정도의 크기일까요?

저희가 살고있는 이 지구의 크기도 어마무시한데, 실제로 우주의 크기가 궁금합니다.

크기가 지구의 몇배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우주의 넓이는 어느정도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주의 크기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우주의 팽창 속도가 너무 빨라서 관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930억 광년 또는 8.8×10^26m 정도 됩니다.

    즉, 우주는 이것보다 더 큽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자 일단 우리지구 크기가 12,800km 이고

    우리은하크기는 946,080,000,000,000,000km 이라고하네요.

    감이 안오죠? 그럼 예를들자면 지구가 1mm모래알 1개 라면 우리은하는 74,000,000km덩어리! 참고로 태양크기가 690,000km라고하는데요.모래알1개 대 태양크기보다 10배큰덩어리가 우리은하와 크기 차이로 보면 되겠습니다요. 이게 끝이 아니죠 우주는ㅎㅎ우리은하보다 큰애들이 수두룩빡빡 이 우주죠.

    결론 크기는 무한데 자꾸 생각해도 끝안나죠

    생각하지 맙시다 우주크기 상상해도 끝이 없어요. 잠안와요 ㅋㅋㅋ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티븐 호킹의 우주론

    스티븐 호킹의 우주론은 그 바탕을 인플레이션에 의존한 빅뱅이론을 그 바탕으로 두고 있다. 인플레이션이론이 맞다면 우리 우주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순간 우리 우주를 탄생시킨 진공이 찌그러지면서 역시 인플레이션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여러 우주가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우주는 많은 우주의 한 부분이라고 한다.

    - 정상우주론(steady state cosmology)

    정상우주론(steady state cosmology)은 반세기 동안 대폭발 우주론과 선의의 경쟁을 벌인 모형이다.

    정상우주론은 본래 1948년 본디, 골드, 호일이 내세운 이론으로 그뒤 아프, 버비지, 날리카 등이 지지하고 있다. 1948년에 발표된 모형을 '고전적 정상우주론'이라고 한다 이 우주론의 기본 가정은 '완벽한 우주원리'이다. 표준모 형은 우주(물질, 빛, 팽창속도, 물리법칙 등)가 공간적으로 균일하고 등방하다고 가정한다. 정상우주론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우주는 시간적으로도 균일, 등방이라는 것이다. 우주는 넓게 보았을 때 어느 곳이나 어느 쪽으로나 똑같은 것처럼, 시간적으로도 옛날이나 이제나 앞날이나 늘 같은 꼴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우주는 진화하지 않으며 영원하다.

    - 프랙탈우주론

    프랙탈 우주론에서는 우주를 본질적으로 하나의 입자라고 본다. 우주를 이루고 있는 무수한 입자들 속에는 또 다른 작은 우주가 재현될 것이다. 사람 역시 우주의 한 구성원이므로 프랙탈 우주는 사람을 중심으로 묘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즉, 우리가 속해 있는 저 우주는 어떤 거대한 사람의 내부에 있는 작은 입자이고 우리 우주와 같은 입자는 무수히 많을 것이다. 그 거대한 사람의 머리 위에는 또 다른 광대한 우주가 펼쳐져 있을 것이며 그 우주 또한 더욱 거대한 사람의 내부에 있는 하나의 입자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몸은 무수한 작은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하나하나의 입자 속에는 아주 작은 사람들이 살고 있어 우리를 거대한 존재로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나아가 그 작은 사람들 몸 속에는 더욱 더 작은 무수한 우주가 반복될 것이다. 만약 이 생각이 진실이라면 우리는 이것을 증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것은 어쩌면 간단한 문제일지도 모른다. 이것은 닮은꼴의 개념으로 접근해 볼 수 있을 것같다.

    이런 우주론에서는 우주의 크기는 무한하다고 할수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