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한가한반달곰169
한가한반달곰16921.10.05

코로나는 정말 평생 같이 살아야되는 질병이 되는건가요??

궁금하네요

현제 의학 기술로는 완치가 안되는건가요ㅠ?

코로나가 하루빨리 끝낫으면 좋을거같은데

백신을 맞아도 코로나에 걸리는데..

백신맞고 죽는 사람도 많고

어떻게 해야될지 고민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19 초기부터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바이러가 완전히 사라지기 보다는, 계절성 인플루엔자(독감)과 같이 지속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코로나19가 종식이되지 않더라도 백신에 의한 집단면역이 형성되고 좋은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코로나19 이전의 생활을 어느정도 회복할수 있을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과 치료제가 모두 개발이 되어 있는 '독감 (인플루엔자)'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파력은 독감보다 높습니다.

    이 말은 인류의 의학기술로 최선을 다 하더라도, 독감 이상으로는 전파를 차단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즉, 코로나가 지구상에서 깔끔하게 사라지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이제부터는 독감처럼 같이 살아가는 바이러스가 될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답변남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가 전세계적으로 많이 퍼져있기때문에, 또한 백신과 치료제가 나온지 얼마 안되어, 언제 종식될지 알 순 없습니다.

    어쩌면, 독감처럼 매년 접종을 해야할 수 있습니다.

    백신과 치료제가 더 발전될 것이고, 집단면역이 전세계적으로 형성되면 조금씩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 믿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의 효과가 얼마동안 지속되는지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효과는 6개월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추후 부스터샷에 관해 정부에서 입장을 발표할것같아요. 현재 접종률도 계속 높아지고있고 백신의 효과가 일단은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접종률이 올라갈수록 위드 코로나로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감염되었더라도 대부분 완치가 됩니다. 그보다는 워낙 전염성이 높은 것이 문제이지요.

    우리는 이미 백년 정도를 위드 인플루엔자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위드 코로나 역시 가능한 이야기이며 언젠가는 가야 할 길입니다.

    코로나는 향후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종류가 200가지 정도 됩니다. 우리는 그 중 매해 유행 할 것 같은 4개 정도의 형태에 대해서 집단 면역을 형성하고 대응 하지만 매해 엄청나게 많은 수의 독감 환자가 발생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도 이미 예전부터 대표적인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유행하는 covid19라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적절하게 집단면역을 획득하면 독감보다 낮은 발생율을 보이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 질병을 두려워 했던 것은 사실 불확실성 때문 이었습니다. 현재는 통제하에 있고, 불확실성이 많이 제거 된 상태입니다. 제 생각에는 독감 예방접종처럼, 연례 행사로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게 되겠지만 지금처럼 사회가 통제되는 수준으로 다시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07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의 백신접종 속도라면 2022년까지 집단면역에 도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10월말 11월초 정부가 위드코로나를 추진하는 근거는 전국민 70%가 2차접종을 완료 한 후 집단면역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 < 얀센 153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 <얀센 0.153%입니다

    이는 마스크를 쓰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선회해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수치입니다.

    참고뉴스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911050104776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언제끝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자연적으로 계속해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연변이에 맞춰서 백신도 계속해서 개발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백신을 맞더라도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를 계속해서 지켜주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경구용 치료제가 나오면 어느정도 정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과거 전염병에 비추어보았을 때, 특히 바이러스성 질환은 생각보다 종식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립니다. 현재도 문제가 되고 있는 변이 바이러스가 시간이 지나면서 그 빈도가 빨라지거나 많아질 수 있습니다.

    결국에는 앞으로 몇년 길게는 10년 이상 이러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아마 독감이나 인플루엔자 그리고 감기처럼 평생 같이 가야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치료제 개발이 시급하나 현재로 정확히 알려진 사실은 없습니다. 내년 상반기에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의 경우 변이가 매우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사실상 뿌리를 뽑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바이러스도 바이러스 나름인데, 코로나 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와 다르게 전파력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전파력이 강하면 변이는 잘 일어나지 않는데 심지어 변이도 매우 쉽게 일어납니다.

    전국민 백신을 접종완료하고, 모두 한번씩 코로나에 감염되어 집단면역이 생성되면 어느정도 소강상태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는 현재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각종 변이바이러스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백신은 개인의 선택입니다. 다만 중증질환자(호흡기질환, 심혈관계질환, 당뇨, 고혈압, 신장질환, 면역억제자, 간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으신분들은 코로나 감염시 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하시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코로나 종식은 언제가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신경써서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비단 코로나 외에 다른 많은 바이러스들이 우리와 공존하여 살고 있습니다.

    어느 순간 많은 사람들이 백신 접종을 하게 되면서 집단면역이 생겨 어느 정도 바이러스의 전염력이 낮아지게 된다면 코로나와 같이 살아가는 시대가 올 것으로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까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과거 전세계를 휩쓴 펜데믹에 비추어 보았을 때 단기간에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과학이 발전하였지만 인류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대한 대비가 생각보다 하지 못했다는 것이 이번 코로나로 밝혀졌습니다. 아마 백신 이후에 치료제가 나오더라도 변이 바이러스에 의해 지속적으로 인류의 위협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마 1~2년 사이에는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머크사에서 몰누피라비르 라는 약을 3차 임상시험을 신청했고 내년쯤에는 나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개발이 완료된 상황은 아니고 3차 시험이 들어간 거면 어느정도 건강한 사람들에게 약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됩니다. 머크에서 개발하고 있는 약의 원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지 않고 바이러스의 중합효소를 표적으로 삼아서(참고로 중합효소는 코로나19 유전물질인 RNA 복제를 담당합니다) 이 효소에 오류를 유도해 복제를 못하도록 합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개발이 되지 않았고 외국에서 나온 이후에 개발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치료제가 정식으로 나오게 되면 독감 처럼 백신 접종과 혹시나 감염이 될 경우 치료제를 통해 치료가 되는 상황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는 그 특성상 완전히 사멸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는 없애는 것이 아니라 마치 독감처럼 유행을 최대한 억제하고 감염될 경우에는 치료를 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어떻게 보면 평생 같이 살아야 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이 나온지 아직 오래되지 않아 아주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 백신 미접종자 중에서는 젊은 연령대에서도 사망자가 나오기도 하고 후유증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백신 2차 접종을 마친경우는 코로나에 감염되더라도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입원을 요하거나 인공호흡기를 필요로 하는 중증으로의 진행은 아주 드물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드물지만 치명적일 수 있는 부작용을 감수하고도 얻는 이득이 훨씬 크므로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층에서 감염이 되면 중증으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이 분야 전문가 집단인 의료인들은 대부분 접종을 받았습니다.

    의료행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득실을 따져보는 것입니다. 부작용이 없는 약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행위로 인한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때 그런 행위나 약물에 대해 권고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처럼 이렇게 단기간에 한꺼번에 수많은 사람들에게 접종되며 연구되어진 연구는 전무후무 할 것 같습니다. 접종건별 발생건수를 보면 상당히 드물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위험도 보다는 코로나에 걸려 중증으로 갈 확률이 훨씬 높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의 종식은 단기간에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변이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나오고있고, 백신접종을 해도 100% 면역이 생기는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향후 경과를 봐야하고, 지속적으로 방역수칙을 지키시는게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