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BassBaritonePark
BassBaritonePark

제사는 어떤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있나요?

제사는 어떤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있나요?

제사하러 새벽부터 모여서는 맨날 어른들은 술먹고 싸우고 그러는데 이를 어째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의 의미와 목적이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제사는 신이나 신령, 죽은 사람의 넋 등에게 제물을 봉헌하는 의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고대 종교의 신전 제의, 가톨릭의 미사 등도 일컫는 폭넓은 개념이지만, 오늘날 한국어에서는 주로 조상제사의 의미로 쓰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제사라 함은 유교적 제례 행위를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유교식으로는 기본적으로 사대봉사라고 하여 '제주'의 4대조(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까지의 제사를 지내는 것이 기본이었고, 이게 넘어가면 매안이라고 하여 신위를 사당에서 옮겨 땅에 묻고 원칙적으로 더 이상 제사를 지내지 않았습니다. 이후 5대조 이상의 조상은 개개인의 기일이 아닌 음력 10월에 동시에 기리는 묘사를 지내거나, 큰 공을 세운 조상의 신위는 시대가 지나도 옮겨 그만두지 않고 계속 제사를 지내는 불천위 같은 예외가 추가되었습니다.
      보통 서양권에서 이 문화를 소개할 때 제사를 보통 Korean Ancestral Rites (한국의 조상에 대한 의례) 라고 하거나 아예 Jesa 로 음역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는 신령에게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돌아간 이를 추모하는 의식입니다.

      인간이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이유는 효를 계속하기 위함으로 효는 자기 존재에 대한 보답입니다.

      살아 계신 조상은 극진히 받들면서 그 조상이 돌아가셨다고 잊어 버려 박하게 한다면 심히 옳지 못한 일이라며 옛 현인들은 말했으며, 진실로 자기존재를 고맙게 여기는 사람은 돌아가신 조상 섬기기를 살아 계신 조상 모시듯 해야 한다는 것으로 죽은 조상을 검기는 제의례를 일러 효를 계속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지내고 술 한잔 하고 오랜 만에 보는 친지들과 싸우고 소리 지르고 이러한 반복되는 일상이 우리생활 처럼 되어 버렸지요. 그래서 자녀들이 20살이 넘으면 독립 해서 자취방을 얻어서 나가 살거나 아니면 제사를 아예 안 지내려고 교회를 다니다는 핑계로 제사에 참여 안 하기도 합니다. 질문자 분이 나이가 어찌 되는지 모르겠지만 만일 중고등 학생 이라면 조금만 참았다가 정말 제사 때문에 어른들이 싸우는 게 보기 싫으면 조금만 참았다가 경제적으로 독립을 해서 따로 살 것을 권유 드립니다. 얼굴을 안보다가 가끔 보면 그 싸우는 모습 조차도 그리워 질 때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그런 모습이 이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