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육지보다는 바닷가에 가게되었을때 바람이 많이 불던데 육지에 비해 바닷가에서 바람이 많이 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육지보다는 바닷가에 가게되었을 때 바람이 많이 불던데 육지에 비해 바닷가에서 바람이 많이 부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바람은 두 지점의 기압 차이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는 것입니다. 두 지점의 기온 차이는 지표의 성질에 따라 달라지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비열입니다. 주변이 모두 육지라면 비열이 비슷해서 온도 차이가 크게 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닷가는 한쪽은 육지, 다른 한쪽은 바다라서 비열 차이가 큽니다. 따라서 해가 있는 동안은 비열이 작은 육지가 빨리 가열되어 육지 쪽은 저압부가 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바다 쪽은 고압부가 발달합니다. 두 지점의 온도 차가 클수록 기압 차가 커지므로 낮에는 바다에서 육지 쪽으로 바람이 붑니다. 이를 해풍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밤에는 육지가 더 빨리 냉각되어 육지 쪽이 고압부, 바다 쪽이 저압부가 되어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바람이 불며, 이를 육풍이라고 합니다. 해가 뜰 때, 혹은 해가 질 때 쯤에는 육지와 바다의 온도가 비슷해져서 기압 차이가 적어져 바람이 약하게 불거나 불지 않게 되는데, 이때를 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바다는 육지에 비해 지표의 굴곡이 작아서 바람에 마찰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 같은 기압 차이의 육지보다 바람이 세게 붑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낮 동안에는 태양이 육지와 바다를 동시에 가열하지만, 육지는 바다보다 더 빨리 데워지고 더 빨리 식게 되지요. 반대로 바다는 육지보다 천천히 데워지고 천천히 식습니다. 이러한 온도 차이로 인해, 낮 동안 육지의 온도가 바다보다 더 높아지게 되는것이지용! 육지가 더 따뜻해지면, 공기가 팽창하여 기압이 낮아집니다. 반면에, 바다 위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차가워 기압이 높게되어 기압이 높은 바다에서 기압이 낮은 육지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바람이 발생합니다. 이 바람이 바로 해풍입니다. 육지가 더 빨리 데워짐에 따라 공기가 상승하고, 이 상승한 공기를 대체하기 위해 바다에서 차가운 공기가 육지로 들어오면서 바람이 발생합니다. 바람의 강도는 육지와 바다 사이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더 강해집니다. 바다와 육지의 열 용량 차이 때문에, 바람이 바닷가에서 더 강하게 느껴집니다. 바다의 큰 열 용량이 바람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며, 육지보다 더 일관된 바람 패턴을 형성하게 됩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