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

무궁화를 우리나라 국화로 정한이유는 무엇이며 언제부터 국화로 지정하게되었나요?

우리아파트에 무궁화봉우리가 생기기 시작했는데요.

그 무궁화를 보다 생각이 났는데요.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무궁화를 국화로 정했으며 무궁화를 국화로 정한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반가운두루미911
      반가운두루미911

      안녕하세요. 푸른색제비566입니다.

      궁화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의 사랑을 받아온 꽃으로,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 꽃'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무궁화는 고조선 이전부터 하늘 나라의 꽃으로 귀하게 여겨졌고, 신라에서는 스스로를 '근화향(槿花鄕 : 무궁화 나라)'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중국에서도 우리나라를 오래 전부터 '무궁화가 피고 지는 군자의 나라'라고 칭송했습니다.

      이처럼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무궁화는 조선말 개화기를 거치면서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란 노래말이 애국가에 삽입된 이후 더욱 국민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무궁화를 우리나라의 국화로 지정한 것은 1949년입니다.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무궁화가 우리 민족의 고유한 꽃이면서도 영원한 번영과 평화를 상징하는 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무궁화를 국화로 지정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모두의 다락방입니다.


      1945년 광복 이후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하면서 국기봉을 무궁화로 사용하고, 정부와 국회의 표장도 무궁화 도안을 사용하면서 나라꽃 무궁화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최고의 훈장이 무궁화대훈장인 것을 비롯해, 통신위성에도 무궁화의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입법, 사법, 행정 삼부의 효상으로 국회의원, 법관, 경찰 등 무궁화를 표상으로 쓰고 있습니다.


      무궁화는 한국인에게 깊은 애정의 대상인데요. 시들지 않는 영원의 꽃이라는 뜻으로 수 세기 동안 한국 문화의 중요한 상징이었습니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고조선 이전에도 무궁화는 ‘천국의 꽃’으로 소중히 여겨졌다고 합니다. 신라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증언으로 신라 왕국 (기원전 57~935 년)은 무궁화의 나라를 의미하는 근화향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또한, 고대 중국인들도 한국을 ‘무궁화가 피는 현자의 땅’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19 세기 후반에 꽃의 아름다움을 칭찬하는 문구가 국가에 포함되면서 애정이 더욱 강해졌습니다. 일제 강점기의 어두운 시기에도 꽃에 대한 사람들의 헌신은 절대 시들지 않았습니다. 독립군들은 무궁화를 일본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삼았다고 하는데요.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후 정부가 국화로 채택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