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2

버스 요금이나 택시요금 등 공공재 가격이 오르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최근 들어서 여러 가지 물가 상승 요인으로 택시요금이나 버스 요금 등 공공재 가격이 인상이 되고 있는데 공공재 가격이 오르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3.04.22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순하게 택시요금이나 버스요금, 지하철의 요금이 인상되는 것은 인플레이션율을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보니 초기에는 개인들의 비용 지출이 추가되어 소비에 극히 '일시적'인 감소 요인이 될수는 있겠으나 택시요금이나 버스요금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실질임금에서 크지 않다 보니 개인들의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전기요금이나 가스요금, 수도요금이 인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라면 이야기는 조금 틀려지게 됩니다. 앞선 공공재 요금과 달리 전기요금, 가스요금등의 경우에는 일반 개인보다는 산업쪽에서 더욱 저렴하게 공급을 받아 사용중이다 보니 이러한 공공재의 요금 인상은 결국 기업들의 생산원가 상승으로까지 연결되게 됩니다.

    그럼 개인들은 기업들의 생산원가 상승에 따라 제품가격의 인상분을 구매하게 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분을 체감하게 되고 추가적으로 개인들 또한 비용인상으로 인해서 소비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서민의 경우 체감되는 수준의 가격인상으로 인해서 소비가 수축되고 gdp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택시나 버스요금 인상은 주로 일반 국민들의 소비에 영향을 주어, 소비를 위축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비의 위축은 경제의 순환이 어렵게 된다는 의미이므로, 경제에 어느정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력이나 가스요금 등 기업의 생산활동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공공재와는 성격이 다소 다르므로, 전반적인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요인은 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버스요금, 전기요금 등 공공재의 가격이 오른다면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하여 서민경제 등이

    더 어려워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