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파라다이스
파라다이스22.12.14

자동차 운전중 신호대기시 중립에 놓으면 연소가 얼마나 덜되나요?

직업상 주행을 많이 하는편이라 연료비가 많이드는 편입니다. 신호대기시 중립에 놓으면 기름절약이 된다고 하는데 얼마나 절약이되는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실험결과로는 정차 중 중립에 두면 최대 38%의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차시에 한해서이고, 정차시에 중립이 아니더라도 연료 소모는 매우 작은 편이기에 실제로는 미세한 연료소모 차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주 미세한 차이일 뿐입니다. 오히려 중립과 드라이브를 자주 왔다 갔다하면 미션이 고장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연료비적으로 의미없으니 하지마세요.


  • 국립환경과학원은 휘발유 차, 경유차 각각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었는데요. 주행 중 중립 기어로 연비가 절약되는 양은 휘발유 18%, 경유 38%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이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의 감소 효과도 있다고 밝혔죠.

    출처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7833049&memberNo=31737600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중립모드(중립기어)는 기름값이 절약된다?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차를 세워놓습니다. 이때 중립모드, 즉 중립기어를 넣어보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의 느낌이 다릅니다. D기어를 놓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보다 중립모드에 놓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훨씬 부드럽고 가볍게 밟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차량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이를 생각해보면 D기어, 즉 드라이브모드에서 브레이크를 밟는 것은 움직이려는 것을 억지로 정지시키는 것이고 중립기어, 즉 중립모드에서 브레이크를 밟는 것은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지만 붙잡고만 있는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연비 아끼기를 위한 중립모드 활용하기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래서 운전자들은 중립모드에 놓으면 기름을 덜 소비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생각은 일정 부분 맞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연비를 높이는 운전방법이라고 소개되어 있는 책자를 보면 교차로 등에서 오래 정차하게 될 때 중립기어를 넣어 놓으라는 말이 나옵니다.

    엔진이 돌아가고 있기는 하지만,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강제로 막는 것하고 그렇지 않는 것하고는 당연히 연료 소비의 차이가 생길 것이니 말입니다.

    다만, 요즘에는 퓨어컷이라는 기능이 있어서 잠간 엔진폭발을 정지시켜 놓을 수도 있어 효율적인 운전이 되었습니다.


    일단 알아둘 것은 중립모드에 기어를 놓으면 연료 소비는 줄어든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합니다.

    특히 운전 중 신호대기를 하게 될 때 5초 이상 기다리게 될 것 같다면 중립기어를 중립모드로 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신호대기 때 중립모드를 이용하면 25%의 연비절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연비절약을 위해서 중립모드 기어 전환은 권장할만한 것으로 결론지어도 되겠습니다.



    (신호대기 등 정차에는 중립모드를 사용하면 연비가 절약된다)


    그러나 효율적으로 중립모드를 이용하려면 급출발의 버릇을 고쳐야 합니다. 신호대기 중에 중립모드를 놓았다가 신호가 바뀌자마자 드라이브모드로 급출발을 하면 엔진에 무리가 갑니다. 1초 이내의 짧은 시간이지만 기어변속 후 적용될 때까지는 약간의 변경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신호대기에 걸리면 중립모드에 놓았다가 신호가 바뀌기 몇 초 전에 드라이브모드로 놓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신호대기 중에 맨 앞에 있지 않다면 신호가 바뀔 때 기어를 바꾸어도 됩니다. 앞차가 출발할 때까지는 여유가 생기니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