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

물장군은 사냥을 어떻게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물장군이 황소개구리를 사냥하는 영상을 봤는데요. 황소개구리한테 달라붙어 있으니 황소개구리가 나중에는 힘이 빠져서 움직이질 못하더라구요. 독 같은걸 주입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물장군의 독은 특히 강력하며, 이 독은 먹이의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마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사냥 시 물장군은 먹이에 달라붙어 여러 차례 물면서 독을 주입합니다. 이 독은 먹이의 근육을 마비시켜 결국 활동을 멈추게 만듭니다. 그 결과, 황소개구리와 같은 큰 먹이도 저항할 힘이 빠지고, 물장군은 안전하게 먹이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 물장군은 물속에서 사는 곤충으로, 자신의 몸집보다 큰 척추동물을 먹잇감으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장군은 뾰족한 발톱이 달린 앞발로 먹이를 낚아채 신경독을 분비하는 침을 박아 상대를 제압한 뒤, 소화효소를 주입해 분해된 체액을 빨아먹습니다.

    물장군은 뱀과 거북까지 사냥하며, 종종 자신의 몸집보다 큰 척추동물을 먹잇감으로 삼기도 합니다. 또한, 물장군은 작은 물고기, 수생 곤충, 올챙이와 같은 먹이가 공격 거리 내에 들어오면 빠르게 공격합니다. 그리고 먹이를 붙잡기 위해 강력한 앞다리를 사용하며, 길고 바늘 같은 입을 이용해 먹이의 몸을 뚫고 서서히 소화 효소 혼합물을 주입하기 시작합니다. 이 효소는 먹이의 내부 조직을 빠르게 액체 형태로 분해하는 것이죠.

    물장군은 성체뿐 아니라 알에서 갓 깬 유생 단계에도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으며, 때로는 동족을 사냥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수컷보다 덩치가 큰 암컷은 다른 암컷의 알을 지키는 수컷을 공격하여 수컷과 알을 먹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물장군의 앞다리는 사마귀의 앞다리처럼 낫 모영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다리로 먹잇감을 꽉 잡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물장군은 독특한 방식으로 먹이를 사냥합니다. 물장군은 몸에서 분비되는 점액질 독소를 이용하여 먹이를 무력화시킵니다.

    물장군은 주둥이로 먹이를 붙잡고 그 위에 올라앉습니다. 그리고 특수한 피부선에서 분비되는 강력한 점액질 독소를 먹이 위에 발라놓습니다. 이 독소가 먹이의 신경계와 근육을 마비시켜 움직이지 못하게 만듭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독소가 더 깊숙이 흡수되면서 먹이는 점점 힘을 잃게 됩니다. 결국 먹이는 완전히 근육이 마비되어 물장군에게 포식당하고 맙니다.

    이렇게 물장군은 독소로 먹이를 능숙하게 사냥합니다. 발톱이나 송곳니 같은 물리적 무기 대신 생화학적 독소를 활용하는 것이 물장군의 사냥 방식입니다. 이처럼 독특한 방어 및 사냥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물장군은 노린재목에 속하는곤충입니다.

    그래서 찌르고 빨수있는 바늘같은 입을 가집니다.

    먹이를 강한 앞발로 잡고 입을 찔러넣은 후 소화액을 주입합니다. 독으로 작용하고 조직을 소화시킵니다. 그래서 물린 작은동물은 서서히 죽고,물장군은 체액을 빨아마십니다.

  • 물장군은 물 속에서 사는 곤충으로 개구리, 물고기, 올챙이처럼 종종 자신의 몸집보다 큰 척추동물을 먹잇감으로 삼는다고 하는데요, 물장군은 노린재와 같은 계통이며 뾰족한 발톱이 달린 앞발로 먹이를 낚아채 신경독을 분비하는 침을 박아 상대를 제압한 뒤, 소화효소를 주입해 분해된 체액을 빨아먹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