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5.14

자동차 바퀴 홈은 왜 있는 건가요?? 지면과의 마찰을 위함인가요?

자동차 바퀴 홈은 왜 있는 건가요?? 지면과의 마찰을 위함인가요?? 마찰때문이면 바퀴의 홈의 너비를 줄여서 더 많이 만들고 깊이를 더 깊게 하는게 더 많은 마찰이 생기는 것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홈을 트레드라고 합니다.

    우선 파인 홈은 그루브, 튀어나와서 바닥에 닿는 면은 블록, 옆으로 파인 부분은 사이프라고 하며, 각각에 하는 일이 다릅니다.

    그루브는 배수구 역할을 합니다. 눈길이나 빗길, 또는 물웅덩이를 지날 때 물이 빠질 수 있게 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지만 너무 넓으면 견인력과 제동력이 약해지는 등 타이어 고유의 기능이 약해 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이프는 소음을 감소시카고 승차감을 상승시킵니다. 다른 말로는 커프라고도 불리는데요, 블록의 강성을 분산시켜 소음을 줄여주고, 더 나은 승차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죠. 그리고 부가적으로는 접지력을 높이는 역할도 하죠.

    마지막으로 블록은 말씀하신 기능인 타이어의 고유역할인 견인력과 제동력, 코너링 성능과 관련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타이어 홈이 있는 것은 자동차 타이어의 마찰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다. 만약 타이어 홈이 없다면 비나 눈이 왔을 때 얇은 수막이 생겨 마찰력이 줄어 도로에서 잘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홈을 통해 마찰력을 늘리는 것이다

    그래서 빗길이나 눈길에 쉽게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에는 가로무늬 또는 세로무늬로 홈이 파여 있습니다. 이러한 홈의 방향에 따라 이름이 제각기 다르고 하는 역할도 조금씩 다릅니다. 자 그럼 자동차 타이어에 파인 홈을 함께 파봅시다.

    - 트레드(Tread)

    자동차 타이어의 가장 바깥 부분으로 외부로 보이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보통 홈들이 파이게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흘레라는 뜻도 있지만, 밟다, 걷다 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트레드는 타이어에서 외피 부분을 의미하는 구조 분류의 개념입니다.

    - 트레드 패턴(Tread Pattern)

    타이어의 트레드 부위에 타이어의 진행 방향과 같은 세로 줄무늬, 직각 방향의 가로 줄무늬, 교차하는 듯한 벌집 모양의 줄무늬 등 여러 방식으로 홈이 파여 있는 데, 이러한 모양들을 통칭하여 트레드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트레드 패턴에는 크게 리브, 러그, 블록의 세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 리브(Rib)

    Rib는 갈비뼈라는 뜻도 있는 데 갈비뼈 모양으로 둥글게 타이어를 감싸듯이 있다 하여 리브 패턴이라고 불립니다.

    타이어가 앞과 뒤로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세로무늬로 평행으로 파인 홈을 말합니다. 바퀴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방향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옆으로 밀려나는 힘에 대한 반작용 힘으로 작용해 흔들림을 잡아주어 조향성을 높여 주며, 소음도 가장 적은 편입니다. 보통 자동차들의 트레드 패턴으로 가장 많이 채용되는 무늬입니다.

    - 러그(Lug)

    타이어의 진행 방향과 수직이 되게 가로로 새겨진 홈을 말합니다. 타이어의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브레이크를 잡았을 때의 구동력과 출발 시 또는 속도 변화 시의 견인력이 우수합니다. 노면이 고르지 못한 지형을 주행할 경우에 안정감을 상승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소음이 크고, 연료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나 구동력과 제동력이 우수해 트럭이나 버스, 군용 차량 등에 자주 쓰이는 형태입니다. OFF 로드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블록(Block)

    위에서 언급한 리브 패턴과 러그 패턴이 서로 교차하면서 혼합한 패턴으로 가로와 세로가 교차하며 자연스럽게 블록 모양이 형성됩니다. 이 패턴은 비포장 도로뿐만 아니라 상시적으로 포장도로도 함께 운행할 가능성이 높은 차량에 주로 채용됩니다. 따라서 버스나, 트럭 등의 ON/OFF 겸용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윈터 타이어, 샌드 타이어라고 불릴 만큼 겨울철 미끄럼 방지에 탁월하며, 진흙 같은 지형에도 안정성을 높여 줍니다.

    - 리브-러그(Rib-Lug)

    리브 패턴과 러그 패턴을 함께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블록 패턴과 유사하지만 리브와 러그가 서로 교차하는 것은 아니고 리브형은 중앙부위에서 러그형은 타이어 어깨 부위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고 존재합니다. 가운데의 리브 패턴은 주행 안정성을 높여주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타이어 어깨 쪽의 러그 패턴은 견인력과 제동력을 높여 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바퀴의 홈은 지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함이고, 마찰이 너무 높으면 타이어의 마모가 심하고 연료소모량이 많아집니다.

    빠른속도를 내야하는f1 자동차의 바퀴에는 홈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