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쌈박한코브라230
쌈박한코브라23023.04.08

물때는 어떤 물질로 이루어져 있나요?

정수기나 물통에 물이 일정 기간동안 흐르거나 담겨져 있으면 물때가 생긴다고들 하는데요. 물때란 먼지가 뭉쳐 나타나는 것인가요? 물때의 성분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때는 물에 포함된 먼지, 부유물질, 미생물, 화학물질 등이 모여 생기는 탁한 물의 일종입니다. 물의 주성분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H2O이지만, 물에는 이 외에도 수많은 미량 원소, 무기물, 유기물, 미생물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물이 일정 기간동안 흐르거나 담겨져 있으면, 이 물에 포함된 먼지, 부유물질, 미생물 등이 모여 농축되어 물때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물때는 물의 안전성과 맛을 해칠 수 있으므로 교체 또는 청소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수기나 물통에서 물이 일정 기간동안 흐르지 않거나 담겨져 있으면, 물이 정착하여 물때라고 불리는 부유물질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물때는 물의 탁도가 증가하여 물의 투명도를 감소시키며, 먼지, 균류, 염분, 유기물, 미생물 및 화학물질 등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물에 포함된 먼지는 대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와 비슷한 성분으로, 토양, 광석, 식물의 자재, 동물의 털 및 비늘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먼지는 물을 취한 지역의 환경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습니다.

    또한, 물때가 형성되는 원인 중 하나는 미생물의 증식입니다. 이러한 미생물은 물을 오랫동안 방치하거나 일정한 온도나 환경 조건 등에 노출되면 증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때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정수기나 물통의 필터를 청소하고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면 물때를 예방할 수 있으며, 미생물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보관하는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물때는 일반적으로 물 속에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주로 먼지, 모래, 부유성 섬유 및 유기 물질 등이며, 식물의 꽃가루나 곰팡이 같은 물질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물때의 성분은 물의 원래 성분과 지역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체 건강에 해롭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오랜 기간동안 물이 일정하게 흐르지 않거나 정화되지 않은 물을 마시면 물에 함유된 세균, 바이러스 및 다른 유해 물질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정수기나 물통에 오랫동안 물이 담겨있으면 물에 떠 있는 미세한 먼지, 오염물질, 미생물 등이 모여서 물때 혹은 물비림이라는 것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때는 눈으로 볼 수 있는 굵은 입자가 아니라, 물 속에 떠 있는 미세 입자들이 모여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또한, 이러한 입자들은 일반적으로 물에 녹아있는 미네랄이나 철분 등의 화학물질일 수도 있습니다.

    물때는 먹어도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맛이나 냄새가 변하거나 물이 탁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정수기나 물통 등에서 물을 교체하고 청소를 하여 물때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로 인해 생긴 침전물이나 얼룩. 빗물이나 수돗물에 섞인 황산칼슘(석고), 탄산칼슘(석회석) 인산칼슘(수산화인회석), 옥살산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물이 빗물, 수돗물과 함께 특정 물체의 표면에 묻은 후, 수분이 다 증발하고 나면 남아서 비늘을 연상시키는 허여멀건한 자국처럼 굳어버리는 걸 말한다. 보통 욕실 유리, 타일, 싱크대 표면, 자동차 창문 등 물방울이 많이 붙었다가 증발할 일이 많은 물체의 표면에 자주 생긴다.

    결국 물 때는 여러가지 미네랄이 잔유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수기나 물통에 물이 일정 기간동안 담겨져 있으면, 물에 미세한 먼지나 황사 등의 미세한 입자들이 물의 표면에 떠서 물때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물때는 먼지가 뭉쳐져 나타나는 것이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물때는 노란색, 갈색 또는 회색 등의 색깔로 나타나며, 물의 탁도가 높아지는 것도 특징입니다.

    물때의 성분은 대부분이 입자상 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지, 황사, 꽃가루, 피부침, 미생물 등 다양한 물질이 물에 녹아서 물광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인체 건강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물때가 생긴 물을 마시기 전에는 반드시 필터링이나 정화 처리를 거쳐야 합니다.

    정수기나 물통에서 물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이 오래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청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청소를 할 때는 세제나 알코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만으로 깨끗하게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수기나 물통에 일정 기간동안 물이 담겨 있으면 물때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물때란 물 안에 떠 다니는 작은 먼지나 입자들이 모여 구름처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물때가 생기는 원인은 정수기나 물통 안에서 물이 오래 머무르면서 물 안에 떠다니는 미생물, 유기물, 먼지, 부유물질 등이 서서히 모여서 큰 입자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모인 입자들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눈에 보이는 물때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용하는 물에 따라 다르지만 물때의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입니다.

    이 중에서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수돗물에서 수분이 증발한 뒤 심하게 흰색의 얼룩이 남습니다.

    즉, 이런 물때는 미네랄 침전물로 석회질이 많이 함유된 수돗물이 나오는 곳은 물때가 더욱 심하게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장실처럼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장소는 어김없이 물때가 많이 끼는데요

    이는 수돗물내에 물과함께 섞인 황산칼슘, 탄산칼슘 외 여러칼슘들이 물과 함께 섞여 물체의 표면에 묻은 후, 시간이 지나면서

    표면에 수분이 증발하면서 남게되는 자국들을 물때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