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의 성향은 어떻게하면 개선시켜 줄 수 있을까요?

주어진 역할이나 해야 할 일은 잘하지만 부끄러움을 굉장히 많이 타고 남들 앞에 나서는 걸 좋아하는 스타일은 아닌 성격입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해주면 성격이 조금이라도 변화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의 성향을 어떻게 하면 개선시킬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게 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끄러움을 많이 타고 남들 앞에 나서는 걸 좋아하지 않는 아이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부모의 꾸준한 지지와 격려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새로운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쌓고, 조금씩 자신의 한계를 넓혀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아이가 잘하는 것에 대한 칭찬과 인정을 통해 자존감을 키워주세요. 자주 “너 정말 잘했어” 혹은 “네가 해낸 걸 보니 기뻐”와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면 아이는 자신감과 자기 확신을 가지게 됩니다. 또, 아이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소규모 활동이나 역할을 제안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가족 모임에서 간단한 발표를 하거나, 집에서 노래를 불러보는 것처럼 작은 도전을 통해 다른 사람 앞에서 자연스럽게 서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의 속도에 맞춰 작은 사회적 도전을 하게끔 유도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먼저 인사하기, 선생님에게 질문하기와 같은 일상적인 작은 도전들을 하나씩 시도해보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이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천천히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도, 부모가 직접 긍정적이고 열린 사회적 행동을 보여주는 것은 아이에게 좋은 롤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부끄러움이 많다 라는 것은 아이의 기질적인 특성 입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극적이고, 소심하고, 부끄러움이 많고, 조용한 성향이 짙다면 남들 앞에서 발표 하는 것을 어려워 하고, 타인에게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 역시도 어려움을 느낍니다.

    이러한 아이의 성격을 개선 시켜 주기 위해서는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는 것입니다.

    아이와 역할극을 함께 하면서 상황에 맞는 행동, 언어, 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구요.

    더나아가 발표를 하기 전 미리 발표할 내용을 적어보고 반복적인 연습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작은 성취를 칭찬해 주어 아이가 스스로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부모나 친밀한 사람 앞에서만 할수 있는 활동을 점차 넓혀가며 도전하도록 유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의 성향을 개선하려면 아이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환경에서 조금씩 자신감을 쌓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