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양육자 말을 잘 않듣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뭔가를 같이 하자고 하면 싫다고만하고만 화만 내고 방에 들어가면 나가라고 하고 밥도 맛있는 밥만 먹을려고 하고 왜 그럴까요?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으니 속이 상하고 화도 나겠습니다.
아이가 어떤 상황에서 화를 내고 기분이 좋지 않은지 상황을 파악하는게 중요해 보입니다.
그런 다음 아이와 마주 앉아서 차분한 어조로 대화를 나눠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가정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자주 나누며 서로의 감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진정된후에 이러한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시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싫다고 거부하는것에 대해서 그냥두기보다는 어떤점이 안되고 수정해야되고 지켜야하는지 규칙등에 대해서 정확히 알려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할때는 엄하게 그리고 규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세요.
그리고 자신의 행동과 언어로 아이에게 모범을 제공하세요. 예의 바른 대화와 행동을 보여주면 아이가 배울 수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하며 그들의 의견을 듣고 이해하려 노력하세요. 이렇게 하면 아이가 협력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강압적이지 않고 일관성 있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이런무례한행동에 대해서는 강한훈육이필요하며
어느정도부모의 역활이나 위치를 보이는것이중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불편한 것이 있었는지 대화를 통해서 풀어나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의견을 충분히 들어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시고 음식은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모양으로 되어있는 밥으로 준비를 해주시거나 조리법을 다양하게 해주셔서 아이가 음식에 흥미를 보이며 긍정적인 식습관이 잡힐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훈육은 단호하게 해주셔야 아이의 버릇을 들일수 있으면 주양육자의 말을 잘 듣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가정에 있는 어른들의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사춘기 이거나 아니면 자기 멋대로 행동하는 아이 이기 때문 입니다.
아이가 제멋대로 할려고 하거나, 짜증을 내고 화를 낸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그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왜 아이의 행동이 옳지 않은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 습관이 개선될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알려주시면서 지도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반대로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고, 계속 재촉하거나, 나무라기 보다는
아이가 하고 싶어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밥을 계속해서 안 먹는다면, 너가 밥이 먹고 싶을 때 오렴 하고 더 이상 말을 하지 않으면, 평소와 다른 부모의 반응에 아이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한번은 이야기를 해보세요
그러면서 왜 자꾸 이런 행동을 하고
화를 내는지 알아보아야 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부분에 대하여 아이와 많은 대화를 통하여
아이가 왜 그러는지 원인을 찾아보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들의 특성이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아이들은 부모님들의 말을 잔소리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답니다.
아이에게 말을 할 땐, 되도록, 짧게 이야기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서로 갈등이 있을 땐 잠시 자리를 피하시고, 서로의 감정이 가라 앉았을 때 차분하게 대화를 나눠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