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저렴한 속목시계형 워치를 차고 있는데..
잘때도 끼고 자고 있는데 유용하게 사용중인 기능은 수면의 질을 보고 있습니다.
깊은 잠, 얕은 잠의 수면 시간을 보면 재미있기도하고 저의 정신 건강 상태를 볼 수 있어서 유용하더라구요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데는 유용한 것 같아요
다만, 이런 데이타가 어떤 근거로 표출되는지 궁금하네요
잠 잘때 자주 뒤척이는 스타일이라 수면의 깊이나 질은 좋지 않은 편이라고 생각하는데
막상 아침에 일어나 데이타를 보면 의외로 깊은 잠의 비율이 훨씬 높게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이런 수면의 데이타는 무슨 근거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사람이 잠에 들게 되면 교감신경은 약해지고,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됩니다.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심박 수는 감소하게 되고 심박의 폭도 줄어들게 되는데,
스마트 워치에 있는 감지기가 이 수면 단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감지기가 팔을 움직이는지 계속 체크하고,
빛 반사를 이용해서 맥박을 감지하여서 심박 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몸의 상태를 바탕으로 수집한 데이터 충분히 근거있는 데이터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워치 뒷부분의 센서가 혈중 산소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면상태를 감지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