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

난시라 안경을 착용했는데 빛번짐이 있다면 문제가 있는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7

난시가 심해서 안경을 맞추고 쓴지는 약 2주정도 되었는데 시력은 잘 교정되었지만

밤에 가로등이나 자동차 불빛들을 보면 빛번짐은 그대로인데

안경을 다시 맞추어야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난시가 있는 경우, 안경을 착용해도 빛번짐(halo 또는 glare) 현상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 이상으로 인해 빛이 한 점으로 정확히 맺히지 않으면서 생기는 현상인데, 특히 밤처럼 조명이 강하고 대비가 큰 환경에서는 이러한 증상이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시력 교정은 잘 되었더라도, 난시 자체의 특성상 약간의 빛번짐은 남을 수 있어요

    하지만 안경을 착용한 후 2주가 지났는데도 빛번짐이 너무 불편하다면 몇 가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첫째, 난시 도수나 축(axis) 값이 정확히 맞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고, 둘째는 안경 렌즈의 품질이나 코팅(예: 블루라이트 차단, 반사 방지) 여부에 따라 시야 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부 렌즈는 야간 빛번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특수 코팅이 되어 있는 경우도 있구요

    또한, 간혹 각막 질환(예: 각막이형성증, 각막확장증 등)이나 안구 건조증, 수정체 이상 등 다른 눈의 문제로 인해 빛번짐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현재 안경이 정확하게 처방된 것이 맞는지, 다른 눈 질환은 없는지 안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경을 다시 맞추기 전에 우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안경을 착용해도 여전히 빛 번짐이 있는 상황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난시가 있는 경우, 빛을 통과할 때 불규칙하게 굴절되기 때문에 빛 번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경을 새로 맞췄을 때 초기에는 시력이 잘 교정되었지만, 밤에 특히 가로등이나 자동차 불빛을 볼 때 빛 번짐이 느껴진다면 몇 가지 점검해볼 부분이 있습니다.

    안경 도수가 적절하게 맞춰졌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난시의 정도가 심하거나 도수가 정확하지 않다면 빛 번짐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난시를 보정하는 안경 렌즈의 각도가 정확히 맞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한 광학 코팅이 없는 경우 빛 반사가 증가해 더 많은 빛 번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안경 적응 기간도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2주 정도는 적응에 필요한 시간으로 간주되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태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안경을 맞춘 병원을 방문하여 다시 한번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검사로 난시 교정 렌즈가 현재 상태에 맞는지, 혹은 추가적인 조정이 필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난시가 있는 경우 안경을 착용해도 빛번짐(헤일로 현상)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밤이나 어두운 환경에서 밝은 광원을 볼 때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안경 착용 초기에는 적응 기간이 필요하며, 보통 2-3주 정도 지나면서 불편함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2주가 지났음에도 빛번짐이 심하게 지속된다면, 안경 도수가 정확하지 않거나, 난시축이 맞지 않을 가능성, 또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다른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안과를 다시 방문하여 굴절검사와 각막 상태 확인을 받아보시길 권장합니다. 때로는 렌즈의 코팅 문제나 렌즈 재질에 따라서도 빛번짐이 달라질 수 있으니, 안경사와 상담하여 렌즈 종류를 변경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빛번짐이 심하게 지속된다면 원추각막과 같은 각막질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으니 안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