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에 비해 설탕가루를 만들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소금은 바닷물을 잘 증발시키면 그 결정들이 잘 나오는데요 설탕 같은 경우는 어떤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지고 설탕가루를 만들기 어려운 설탕의 구조적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구조와 특성: 설탕은 소금보다 훨씬 더 섬세하고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탕 결정은 더 작고 부서지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가루 형태로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반면에 소금은 더 크고 견고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가루로 만들기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2. 물리적 특성: 설탕은 수분과 쉽게 반응하여 습기를 흡수하고 덩어리를 이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설탕을 가루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에 소금은 수분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덜 반응하기 때문에 가루 상태로 유지하기가 더 쉽습니다.
3. 가공 과정: 설탕의 경우, 가루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설탕 결정을 소량씩 분쇄하고 섬세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이는 설탕 결정의 미세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은 바닷물에서 추출되는데 설탕은 식물의 줄기나 뿌리에서 추출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사탕수수 또는 대나무 등의 식물의 줄기에서 추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설탕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물의 줄기를 잘게 썰어서 증류기에 넣어 액체를 추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추출된 액체를 여러 번 거르고 건조시켜 설탕 결정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설탕 결정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매우 섬세한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설탕 결정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며 결정체가 제대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균일한 크기의 결정체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설탕 결정체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간과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들이 설탕가루를 만드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이유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설탕가루를 만드는 것은 어렵고 복잡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설탕은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등을 원료로 만들어지는데 제조 공정을 보면 정제 공정에서
'원당-세당-용해-탈색·여과' 과정을 거쳐 당액을 추출하고,
결정 공정에서 '농축-결정화-분리·건조' 과정을 통해 설탕을 만들어,
포장 공정에서 용도에 따라 가정용과 업소용으로 포장해 배송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