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어떤 소리가 집안에서는 들리는데 밖에 나가면 안들리는 이유가 뭘까요?

멀리서 드럼을 치는 소리가 집안에서는 느껴지는데 어디서 나는건가 확인하고 싶어 집밖에 나가면 들리지가 않습니다.

일요일에는 안들려요.

소리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날 수가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가 전달되는 원리는 공기를 진동시켜 그 진동을 타고 이동하는 방식이 기본입니다. 집안에서 소리가 들렸다면 벽면이나 바닥과 천장을 진동의 매개체로 사용하여 소리가 들렸을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그리고 밖에 나가면 안들리는 소리는 매개체가 없기 때문일테니, 근처에 사는 집이 소음의 원인일 수 있겠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집안에서는 실외보다 많은 장애물과 집의 구조물 등이 소리를 흡수하거나 반사시키기 때문에 실외에 비해 소리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실외에서는 소리가 자유롭게 퍼지는 반면, 실내에서는 방 안에서 특정한 위치에 위치한 소리원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장애물에 의해 막히거나 반사되어 방 안에서 더욱 집중되어 들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집안에서 들리는 소리가 밖에서는 안들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장애물의 영향: 집안에서 들리는 소리가 밖에서 안들리는 이유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장애물의 영향입니다. 집안에서 들리는 소리는 벽, 천장, 바닥 등과 같은 장애물을 통해 산란되고, 이로 인해 소리의 진폭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밖에서는 이러한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소리가 집안보다 더 멀리까지 전달됩니다.

      2. 외부 소음의 영향: 집안에서 들리는 소리가 밖에서 안들리는 경우, 반대로 밖에서 들리는 소리가 집안에서 안들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소음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외부 소음은 건물의 창문이나 문, 벽 등을 통해 산란되지만, 집안 내부의 장애물로 막혀서 진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로윗층이나 아랫층, 옆층의 소리는 벽하나를 두고 소리가 전달됩니다.

      그러나 복도로나가면 외부의 다른소리들과 섞여 들이기때문에 안들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집안에서는 외부와 차단되어 있는 공간에서 소리가 반사되거나 흡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집안 안에 있는 방에서 소리가 발생하면 그 소리는 방 안에서 반사되며, 벽이나 천장 등의 구조물에 의해 흡수됩니다.

      반면에 실외에서는, 소리가 공기 중을 전파하며 이동하다가 장애물을 만나면 반사되거나 흡수됩니다. 만약에 외부에서 들리는 소리가 집안에서 들리지 않는다면, 그 소리가 반사되거나 흡수되는 장애물이 집의 벽, 창문, 문, 담장 등으로 막혀서 집안으로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소리의 주파수와 집안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주파수 음악이나 큰 차나 비행기의 엔진 소리 등은 공간을 관통하는 능력이 높아서 집안에서도 잘 들리지만, 고주파수 소리나 작은 새의 울음소리 등은 벽 등의 구조물에 의해 막히기 쉬워서 집안에서 잘 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성목 과학전문가입니다.

      집 안에서는 특정 소리가 들리지 않고 밖에 나가면 들리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 소리가 건물에 의해 차단되거나 흡수될 수 있습니다. 집 안의 재료나 물건. 예를 들어 벽, 문, 가구 및 기타 물체는 음파를 차단하거나 흡수하여 소리를 듣기 어렵게 만듭니다. 반대로 밖에 나가면 음파를 차단할 장애물이 적기 때문에 소리가 더 잘 들릴 수 있습니다.

      둘째, 소리가 더 쉽게 흡수되거나 차단되는 주파수에 있을 수 있습니다. 집의 건축 자재로. 일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되는 것과 같은 고주파수 사운드는 물체에 더 쉽게 흡수되거나 차단되는 반면, 저음이 많은 음악에서 생성되는 저주파 사운드는 물체를 통과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더 먼 거리.

      마지막으로 소리가 너무 작아 집 안에서는 들리지 않지만 밖으로 나가면 더 잘 들릴 수 있습니다. 소리가 집에서 먼 거리에서 발생하거나 집 내부에 주변 소음이 많아 소리를 듣기 어려운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음파를 차단하는 장애물, 건축 자재에 의한 소리의 흡수, 소리의 주파수 및 주변 소음 수준을 포함하여 집에서는 특정 소리가 들리지 않지만 밖에 나가면 들리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