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제를 먹지 않으면 일상이 전혀 안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2021. 03. 30. 02:05

소화제를 먹지 않으면 계속 속이 더부룩하고 어깨가 뭉칩니다. 그러다가 구토를 위가 아플 때까지 하고나면 그제서야 어깨도 풀리고 속이 편해집니다. 그런데 그러고 나면 위가 멍든 것처럼 아파요.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체했을때 치료법

- 내과에 가셔서 진단을 받고 필요하면 위내시경등을 받아보셔야합니다.

- 따뜻한 매실차 마시기

- 따뜻한 찜질팩으로 배의 온도 올리기

- 가벼운 운동으로 소화기능 활성화

- 소화제, 위장운동촉진제, 제산제 등을 복용

2021. 03. 30. 16:53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적어주신 증상으로는 위염이 의심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불규칙한 식습관이나 스트레스, 노화등의 원인으로 위점막의 손상으로 위염이나 위궤양이 생기고, 이런 상태가 장기화 되면 장상피화생이 됩니다.
    장상피화생 상태에서 치료를 받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면 위암으로 발전할 수 있지요.
    이러한 위장관 질환에서는 식후 명치통증, 소화불량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금연 및 금주를 권하며, 위산을 많이 분비하는 맵고 짠 음식도 자제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치료로는 헬리코박터균 제균을 위한 항생제와 더불어 제산제를 사용하며 아울러 정기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2021. 03. 30. 14:33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소화불량, 가스 생성, 복부팽만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식습관 입니다.

      1) 기름진 음식은 설사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지방 성분은 잘 소화·분해되지 않고, 장 운동을 빠르게 하는 호르몬을 많이 분비시키기 때문입니다.

      기름에 튀긴 음식도 주의해야 합니다.

      2) 갈락탄, 푸룩탄, 젖당, 과당, 폴리올 등의 당 성분은 장에서 잘 흡수되지 않고 남아 발효되어 복통·설사·변비 같은 이상 증상을 유발 합니다.

      이들은 소화 효소로 잘 분해되지 않아 대부분 대장에 남는데, 수분을 머금어 설사를 유발하고 장내 미생물에 의한 발효 과정에서 가스를 만들어 복부 팽만을 유발합니다.

      생마늘, 생양파, 양배추, 콩류, 사과, 배, 수박, 복숭아 등이 대표적인 당 함유 식품입니다.

      3) 밀가루 같은 글루텐 식품도 주의해야 합니다.

      글루텐은 식품의 점성을 높여서 쫄깃한 식감을 주는 역할을 하지만, 글루텐 역시 소화 효소가 잘 분해시키지 못해 장에 남고 발효되면서 가스를 생성합니다.

      4) 유제품도 이상 증상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실제 국내 성인 중 유제품 속 유당(乳糖)을 분해하는 소화 효소를 가진 사람은 거의 없는데, 유당은 장에 잘 남아 발효돼 가스를 만들어서 복부 불편감을 만듭니다.

      5) 양배추, 브로콜리같이 섬유소가 풍부한 채소를 한 번에 많이 먹으면 배에 가스가 잘 차게 됩니다.

      과도한 섬유소는 뱃 속에서 가스를 잘 만들어냅니다.

      6) 과식을 한 경우에도 위장에 부담을 주고 소화 시간을 길게 해 복부팽만을 유발합니다.

      7) 한 자리에 오래 앉아 있거나 오래 누워 있는 등, 신체 활동을 너무 하지 않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치료 및 일상 생활에서의 관리

      소화불량을 예방하려면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조금씩 여러 번으로 나눠 먹어야 소화가 빨리 돼 위장에 음식이 머무르는 시간이 줄고 가스가 덜 생깁니다.

      위 제품을 모두 끊는 게 좋습니다.

      껌을 많이 씹으면, 공기가 입으로 들어가 위장에 가스가 찰 수 있습니다.

      탄산음료에 들어있는 이산화탄소도 체내에서 가스를 만들어내 마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이런 원인을 모두 고쳤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사라지지 않으면, 병원에서 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2021. 03. 30. 04:21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