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경제학자 이스터닐이 말한 역설은 무엇인가요?

미국의 경제학자인 이스톨린이 주장했다고 하는데요

이스털린의 역설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어떠한 배경에서 주장하게 된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스털린의 역설은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제시한 개념으로, 소득이 일정 수준까지 증가하면 행복도도 함께 증가하지만, 그 이상 소득이 늘어나도 행복감은 더 이상 크게 상승하지 않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경제적 성장과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를 분석하던 중 발견된 사회학적 통찰입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스터넬의 역설은 소득 증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크게 작용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행복이 소득 외에도 사회적 관계, 건강, 심리적 만족 등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스터넬은 1970년대 후반에 미국과 다른 선진국들의 경제 성장을 연구하면서 이 역설을 주장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많은 경제학자들은 경제 성장이 국민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으나, 이스터넬은 소득 증가가 행복에 미치는 한계를 강조하며 성장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스털린의 역설은 경제 성장과 국민의 행복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다는 주장입니다.,

    즉, 국가의 경제적 번영이 증가해도 그 국민의 행복은 반드시 증가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 주장은 1974년 미국의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제시했으며, 당시 경제 성장과 삶에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이론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됬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스털린의 역설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스털린의 역설이란 기본 욕구가 일단 충족이 되면

    국가의 행복수준이 소득에 비례해서

    늘어나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 이스털린의 역설은 1974년에 주장된 것으로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 기본 욕구가 모두 충족되면 소득이 더이상 증가해도 행복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경제학의 주류였던 경제성장이 곧 국민 행복 증진이라는 견해에 대한 비판으로 제기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