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전이전이
전이전이23.04.27

물가 잡으려면 금리 올려야 한다는 주장! 신뢰할 수 있나요?

세계 경제가 계속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는데요. 미국에서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 계속 금리를 인상하고 있고, 이로 인해 은행들이 줄 파산하는 금융위기의 가능성마저 언급되고 있는데요.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계속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 정말 신뢰할 만한가요? 금리 인상 말고도 물가를 잡을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을 통제하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실행하는 통화정책 입니다. 이거 외에도 정부에서 실행하는 재정정책을 축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추가적으로는 생산성 향상을 통해서 우리가 소비하는 제품들의 공급량이 획기적으로 상승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국 경기침체나 금융위기가 오면 물가는 잡힙니다. 물가를 잡기위해서 어느정도 의도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지급준비율의 인상이나 정부의 대량의 국채발행등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국채발행이 과도하여 국가의 부채수준이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인상 외에는 물가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가를 잡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금리인상이다 보니 지금처럼 빠르게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금리인상을 하는 것이 거의 유일한 해답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물가를 잡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금리를 인상하느 것입니다.

    시중의 통화량을 줄임으로써 물가의 상승을 제한하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어느정도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를 잡으려 한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있지만, 과거 돈을 과도하게 풀어놔서 물가 상승을 이끈 주체가 연준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이라는 점에서 자기들이 일을 벌려 놓고, 이제와서 다시 돈 줄을 죄어서 경제를 어렵게 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