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월급의 몇%정도가 투자금으로적당할까요?
한달 월급에서장기투자 단기형투자로 구분해서 계속해볼 예정인데 한달월급의 몇프로가 투자금으로 좋을까요? 적금을 안넣을거라 조금 공격적이어도 됩니다 한달월급의 60프로 이상을 모우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만 나이가 어릴수록 공격적인 투자자금에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격적인 투자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60%이상을 모으고 있다는 것은 이미 저축은 잘하고 있는 것이고 해당 60%중에서 20~30% 정도를
투자자산으로 돌려서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월급에서 일정부분 투자에 집중하려고 하시는 군요.
직장에 다니시는 분들은 단기투자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업무를 처리하는 사이 변동이 크게 왔을 때 대응하기도 쉽지않고 여러가지가 스트레스로 오기 때문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고배당주의 저점에 장기투자로 추천드립니다.
투자금으로는 월급의 30%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됩니다.
보통 나이대에 따라서 다르지만 한달 월급의 60% 이상을 저축 및 투자를 하신다면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아주 잘하고 계시니 지금부터 계쏙 꾸준하게만 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월급의 60%를 투자에 활용하실 수 있다는 의미로 보여집니다.
별도 적금을 들지 않고 투자에 활용하신다면 전부 투자에 운용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단, 리스크 관리는 필요하기 때문에 60% 중 10~20%정도는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에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로, 금이나 배당주 등에 장기적으로 투자하시면서,
나머지 금액은 상대적으로 리스크 있으나, 수익률도 높일 수 있는 주식이나 가상화폐에 투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한달 월급 60%를 저축하고 있다면 그 중 절반인 30%를 투자금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0%중 일부는 안전한 장기투자에 나머지는 단기 투자에 나눠 투자하세요. 이렇게 하면 투자 위험을 줄이고 돈도 잘 불릴 수 있습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직 사회초년생이시라면 6~70% 정도는 모으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투자는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그 중에 20% 정도는 현금으로 모아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떤 투자를 할지에 대해서 알아야 퍼센트가 나올거 같은데요
우선은 무엇보다 월급에 대해 절약하고 모오는것이 최우선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 알뜰하게 잘 모으시는것 같으니 어떤 투자를 할지에 대해 고민해보셔야 될거 같네요
질문하신 자기 월급의 몇% 정도를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나이가 비교적 젊으시다면 월급의 30% 정도 투자하겠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월급 중에서 다시 얼마를 적금, 예금으로 돌리겠습니다.
이 부분은 개인마다 차이가 클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일단 가처분소득인 월급의 60%를 기준으로 해서
이 돈의 50%는 위험할수도 있는 주식을 하고
나머지 30%는 안정적인 장기투자용 주식을하고,
나머지 20%는 예금성 자산에 투자를 할것같습니다.
✅️ 한 달에 10~20% 정도는 투자를 해주시는 것이 좋은데, 이미 60% 이상 저축을 하고 계시다면 이중 절반 정도인 30% 정도는 투자로 돌리셔서 기대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통상적으로 ‘100-나이’ 원칙을 이용하시면 편합니다.
예를 들면, 나이가 30세인 경우에, 30%는 안전자산인 예적금 등에, 70%는 위험 자산인 주식 등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금으로 사용할 금액은 개인의 재정 상황, 투자 목표, 위험 허용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자기 월급의 10% 이내를 투자금으로 삼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