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어디고
어디고

자기 월급의 몇%정도가 투자금으로적당할까요?

성별
남성

한달 월급에서장기투자 단기형투자로 구분해서 계속해볼 예정인데 한달월급의 몇프로가 투자금으로 좋을까요? 적금을 안넣을거라 조금 공격적이어도 됩니다 한달월급의 60프로 이상을 모우고 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만 나이가 어릴수록 공격적인 투자자금에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격적인 투자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60%이상을 모으고 있다는 것은 이미 저축은 잘하고 있는 것이고 해당 60%중에서 20~30% 정도를

      투자자산으로 돌려서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월급에서 일정부분 투자에 집중하려고 하시는 군요.

    직장에 다니시는 분들은 단기투자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업무를 처리하는 사이 변동이 크게 왔을 때 대응하기도 쉽지않고 여러가지가 스트레스로 오기 때문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고배당주의 저점에 장기투자로 추천드립니다.

    투자금으로는 월급의 30%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됩니다.

  • 보통 나이대에 따라서 다르지만 한달 월급의 60% 이상을 저축 및 투자를 하신다면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아주 잘하고 계시니 지금부터 계쏙 꾸준하게만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월급의 60%를 투자에 활용하실 수 있다는 의미로 보여집니다.

    별도 적금을 들지 않고 투자에 활용하신다면 전부 투자에 운용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단, 리스크 관리는 필요하기 때문에 60% 중 10~20%정도는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에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로, 금이나 배당주 등에 장기적으로 투자하시면서,

    나머지 금액은 상대적으로 리스크 있으나, 수익률도 높일 수 있는 주식이나 가상화폐에 투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달 월급 60%를 저축하고 있다면 그 중 절반인 30%를 투자금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0%중 일부는 안전한 장기투자에 나머지는 단기 투자에 나눠 투자하세요. 이렇게 하면 투자 위험을 줄이고 돈도 잘 불릴 수 있습니다.

  •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직 사회초년생이시라면 6~70% 정도는 모으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투자는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그 중에 20% 정도는 현금으로 모아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떤 투자를 할지에 대해서 알아야 퍼센트가 나올거 같은데요

    우선은 무엇보다 월급에 대해 절약하고 모오는것이 최우선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 알뜰하게 잘 모으시는것 같으니 어떤 투자를 할지에 대해 고민해보셔야 될거 같네요

  • 질문하신 자기 월급의 몇% 정도를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나이가 비교적 젊으시다면 월급의 30% 정도 투자하겠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월급 중에서 다시 얼마를 적금, 예금으로 돌리겠습니다.

  • 이 부분은 개인마다 차이가 클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일단 가처분소득인 월급의 60%를 기준으로 해서

    이 돈의 50%는 위험할수도 있는 주식을 하고

    나머지 30%는 안정적인 장기투자용 주식을하고,

    나머지 20%는 예금성 자산에 투자를 할것같습니다.

  • ✅️ 한 달에 10~20% 정도는 투자를 해주시는 것이 좋은데, 이미 60% 이상 저축을 하고 계시다면 이중 절반 정도인 30% 정도는 투자로 돌리셔서 기대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통상적으로 ‘100-나이’ 원칙을 이용하시면 편합니다.

    예를 들면, 나이가 30세인 경우에, 30%는 안전자산인 예적금 등에, 70%는 위험 자산인 주식 등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 투자금으로 사용할 금액은 개인의 재정 상황, 투자 목표, 위험 허용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자기 월급의 10% 이내를 투자금으로 삼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