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Mister Jasonheo
Mister Jasonheo

국내총생산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오르면 어떻게 되나요?

국내총생산 GDP 대비해서 국가부채 비율이 계속 오르고 있는걸로 아는데

대비해서 비율 오르면 중립금리도 같이 오르는건가요?

또한 어떤 경제상황이 나타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경제 규모 대비 정부 부채 수준을 측정한 것이다. 이 비율이 높아지면 정부가 경제 규모에 비해 더 많은 부채를 떠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을 경우 우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과 중립금리 사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두 개의 개별 경제 지표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중립금리는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에 부합하는 금리 수준으로 생산성 수준, 투자수익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중립금리는 중앙은행이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금리 수준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통화정책의 중요한 기준점입니다.

    한편,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경제규모 대비 정부부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정부지출 수준, 경기부양 수준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의 증가가 반드시 중립금리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중립금리는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두 개의 개별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부 부채 수준이 지속 불가능해지고 정부의 재정적 의무 이행 능력에 대한 우려로 이어진다면 이는 잠재적으로 금리 상승 압력을 가하고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부가 부채 수준을 신중하게 관리하고 부채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쉽게 말씀 드려 버는 돈 보다 빚이 많으면 내외부 예상치 못한 충격을 받았을 때 국가 재정에 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GDP는 한 국가가 창출하는 부가가치의 합인 바 개인으로 치자면 연간 소득이라고 할 수 있고 관련 빚은 연간 소득을 넘어서지 말아야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