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도도한검은꼬리79
도도한검은꼬리79

해수면의 높이가 많이 오르지 않는데도 육지가 잠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된가는 기사를 봤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은 해수면의 높이가 고작 1.5cm 정도만 상승해도 육지가 많이 잠긴다는데 왜 1.5cm만 상승하는데 육지가 많이 잠기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치상 말하는 1.5cm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와 빙산이 녹아 해양에 추가적인 물이 유입되어 해수면이 상승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바다물은 높은 온도에서 팽창하고, 낮은 온도에서 수축히는데 온난한 기후로 인해 바다의 물의 온도다 높아지면 열팽창이 발생합니다. 이 때문에 물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해수면이 더 크게 상승하게 됩니다.

      즉, 단순히 물의 양 뿐만 아니라 열팽창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더해지면 더 많은 부분이 물에 잠기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면 상승은 조류와 해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조류와 해류의 흐름이 변화하면서 육지에 물이 침식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변이나 연안 지역에 위치한 토양이 조금씩 침식될 수 있습니다. 파도와 조류의 영향으로 인해 모래와 흙이 이동하고 침식되는 것은 자연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해수면이 더 높아짐으로써 이러한 침식 과정이 가속화되어 육지가 잠기는 범위가 넓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온난화로 인해 강우량 증가, 빗물 흡수능력 저하 등으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해 육지가 잠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