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아기가 익숙하지 않은 낯선곳을 가거나 사람을 만나면 계속 웁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질문드린 그대로 낯선곳으로 가거나 자주 안보는 사람을 만나게되면 잘 웁니다. 마트나 넓은곳은 그래도 괜찮거나 잘 있는편인데 이번에 이사를 가게되서 새 집으로 이사를 오게되었는데요. 적응하는 속도가 느린건지 왜 이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낯선 곳이나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아이가 울거나 불안해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특히 민감하거나 적응에 시간이 필요한 아이라면 이사처럼 큰 변화가 있을 때 더 강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는 아이가 새로운 환경에 조금씩 익숙해질 수 있도록 천천히 적응할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아이가 편안함을 느끼는 익숙한 물건을 새 집에 두고,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담요 같은 소지품을 활용해 안정감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새로운 환경에서 서서히 시간을 늘려가는 방법도 효과적이에요. 예를 들어, 새 집에서는 처음에는 부모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놀이하거나 집 안 곳곳을 탐색하게 하고, 이를 통해 집안이 안전하고 친숙한 공간이라는 인식을 갖게 해주세요.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도 마찬가지로, 가까운 거리에서 아이가 관찰하며 천천히 다가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자주 우는 것은 단순히 불안이 아니라 낯선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자연스러운 반응임을 이해하고, 부모가 곁에서 차분히 기다리며 안전감을 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낮가림을 하는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특성 때문 입니다,

    낯가람이 있는 아이들은 새로운 환경과 새로운 사람에게 민감하고 예민하게 반응을 합니다.

    아이에게 낯선 곳을 방문하거나 새로운 장소에 가야 될 때 미리 사전에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분위기와 그곳에 가면 어떠한 것을 경험하게 될지를 미리 인지를 시켜주는 것이 좋겠구요. 아이가 그 환경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사진을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또한 환경과 사람에게 익숙해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어야 합니다.

    사람과 자주 교류를 하면서 부모님은 상대와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대화를 나누는 사람은 무서운 사람도 아니고 우리에게 위험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도 아이가 환경과 사람에게 낯가림 것에 대해 도움이 되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향에 따라서 새로운곳에서 노는것을 좋아하기도 하고 무서워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이러한 것을 무서워 한다면 먼저 부모님께서 달래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이러한 환경에 오는것을 적응 할 수 있도록 많은곳을 다녀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노출이 많이 되면 아이들의 성격도 바뀌고 적응하게 되면서 우는것이 많이 줄어드는것을 볼 수 있을것으로 보이니 참고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낯선 곳이나 사람을 만나면 불안해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이럴때는 미리 그 장소나 사람에대해 이야기해주고 긍정적 경험을 강조하세요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그런 행동은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아이가 새로운 환경이나 사람에게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에요

    아기가 낯선 환경에서 불안해할 때는 부모가 가까이 있어서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좋고

    부모의 품안에 안기거나 손을 잡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좋아하는 물건이나 인형을 같이 가지고 가면 더 좋아요

    처음에는 낯선장소나 사람에게 초음 노출 될 때 짧은시간 머무르게 하고 점차 시간을 늘려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기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이해하고 강요하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것이 중요할 거 같아요

  • 아이의 두려운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을 해주세요

    최대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 주시고,

    새로운 환경에서는 긍정적인 경험을 만들어 주어 적응 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