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5.16

올해 전세계적으로 김 생산량이 줄어들었다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전세계적으로 김 생산량이 급감해서 올해 김 원물의 가격이 말도 안되는 가격으로 뛰었다던데요.

어떤 이유로 올해에 유독 김 생산량이 줄어든 것인가요?

혹시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수의 영향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매년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서식지가 북쪽으로 이동함에따라 김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는 크게 상관없는것으로 보입니다.


  • 후쿠시마 오염수의 영향은 관련이 없고, 지구온난화로인핸 해수온도상승과 이로인한 병충해로인해 수확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올해 전세계적으로 김 생산량이 감소한 이유는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의 변화가 있습니다. 온도 상승과 극단적인 날씨 조건이 더 많아지면서 해조류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영향으로 해조류 질병과 해충이 증가 되었습니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이는 해조류의 성장을 저해하고 큰 생산 손실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김을 생산 및 소비하는 국가가 아시아권에 많고 이는 김의 전체 생산량에 영향을 주게 된 원인 중 하나로 대두 됩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과 관련하여 현재까지는 이 문제가 해조류 생산 감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기상 이변으로 인한 수온의 비정상적인 변화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상기후로 인해 수온변화가 그동안의 양상과 다르게 일어났고,

    김이 한창 성잘할 시기인 11월달 바닷물 수온이 많이 낮아져 성장이 느려졌고,

    이후에는 수온이 평년보다 높아지면서 병충해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또한 올해 김값의 상승은 최근 해외의 김밥열풍으로 김의 수출이 늘어난 것도 영향이 있을것이라고 평가합니다


  • 국내 생산량은 평년과 비슷하지만 수출이 급증하면서 국내는 물론 수출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 집계를 보면 지난달 마른김 도매가격은 속(김 100장)당 1만89원으로 전년보다 80.1% 오른 가격에 거래되었다고 하는데요, 작년 연간 마른김(HS코드 1212211010) 수출량은 1만6771톤으로 집계되었습니다. 3년 전인 2020년 9808톤과 비교해 71.0% 증가한 수준이며, 수출액은 2020년 1억7382만 달러에서 2023년 2억9306만 달러로 68.6%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마른김을 가공해 만든 조미김 수출량은 2만1104톤에서 2만6734톤으로 26.7%, 수출액은 4억6540만 달러에서 5억4715만 달러로 17.6% 증가했습니다.


  • 올해 전 세계적인 김 생산량 감소의 주된 원인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이상 기후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김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적정 수온을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특히 김 양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류의 세력이 약해지고, 적조 현상이 심해지면서 김 생산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이 내려진 것은 최근의 일이므로, 아직까지는 김 생산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만 방사능 오염에 대한 우려로 인해 소비자들의 심리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김 소비 자체가 위축되고, 이로 인해 김 가격이 급등하는 등의 간접적인 영향은 있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올해 들어 김 가격이 급부상하게 된 원인은 지나친 수출로 인해 내수용 김이 부족해져서라고 합니다. 전 세계 김 생산량 중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이나 되는데, 우리나라 김의 높은 품질과 생산기술력 때문에 해외에서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