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비가 오는데 100미리 50미리 이렇게 강수량을 나타내는데 이 기준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비가 오는데 100미리 50미리 이렇게 강수량을 나타내는데 이 기준이 뭘까요?
오늘 하루 200미리가 온다?
물컵을 놓고 하면 20센치가 쌓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강수량은 1제곱미터 면적에 내린 비의 높이를 뜻하지요! 50mm라면 1제곱미터 면적에 5cm 의 비가 쌓인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한군데 몰아지면 그게 강이되고 홍수가 나고 그런것이지요!! 일정기간동안 내린비의 양을 밀리미터로 환산한것이니 참고해주세용!!
강수량은 일정 시간 동안 지표면에 떨어진 물의 깊이를 mm 단위로 나타낸 것으로, 1mm는 1㎡당 1리터의 비가 내린 것을 의미합니다. 시간당 50mm는 침수 위험이 있는 강한 비 100mm는 재난 수준의 폭우로 분류됩니다.
강수량 100mm라고 하면 말 그대로 평평한 바닥에 10cm 높이로 물이 고인다는 뜻이에요 그러니까 200mm면 20cm가 되는 거고요 실제로 물컵 같은 데 받아보면 그만큼 쌓이긴 해요 물론 바람이나 지형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본 개념은 그래요 그래서 기상청에서 ‘오늘 하루 200mm 예상’이라고 하면 꽤 많은 양의 비가 내린다는 뜻이에요 특히 시간당 30mm 이상이면 우산 써도 옷 다 젖고 시야도 흐려질 정도라서 조심해야 해요 저도 예전에 시간당 50mm 비 맞고 나서 신발 다 젖고 물웅덩이에 빠질 뻔한 적 있어요 ㅎㅎ 그래서 요즘은 강수량 숫자만 봐도 대충 감이 오더라고요~ ㅎㅎ 감이 좀 오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