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자동차 유압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는 무엇인가요?
시속 100키로미터/시간 보다 빠르게 달릴수 았는 자동차도 브레이크를 밟으면 금방 멈추는데요
이런 자동차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시속 100km이상으로 달리는 차를 빠르게 멈출수있는 것은 바로 파스칼의 원리 덕분입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 이 힘은 배력 장치를 통해 증폭되고 마스터 실린더 내부의 브레이크액(유체)을 밀어냅니다. 유체는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특성이 있어, 이 압력이 브레이크 호스를 통해 각 바퀴의 캘리퍼(또는 휠 실린더)로 전달됩니다.
캘리퍼는 이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패드(또는 슈)를 디스크(또는 드럼)에 강력하게 밀착시켜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 마찰력으로 차량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멈추게 합니다. 즉, 적은 힘으로도 무거운 차를 제동할수있도록 설계된 효율적인 시스템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강제로 회전하는 축을 잡아주게 됩니다. 이에 따라 속도가 더이상 오르지 않고 멈추게되는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밟는 힘이 마스터 실린더로 전달되며 실린더의 피스톤이 움직이면서 브레이크 오일에 압력이 가해지게 됩니다. 이 원리는 파스칼의 원리로 밀폐된 용기 내부의 액체는 같은 크기로 전달 된다는 법칙으로 이 피스톤이 드럼 브레이크나 디스크 브레이크에 밀착되어 강한 마찰을 나타내게 하여 제동이 이루어 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