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2.23

비펠드-브라운효과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과학분야 중에서 전기이론을 공부하다가 보면 잘 모르는 전기용어가 나와 질문을 올립니다. 전기용어 중에서 비펠드-브라운효과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

    Q: 비펠드-브라운효과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A: 비펠드-브라운 효과(Biefeld-Brown effect)는 전극 사이에 높은 전압을 걸고, 한쪽 전극은 방전이 쉽도록 뾰족하게 하면 방전으로 이온화된 기체가 이동함으로써 전극에 추진력이 발생하는 듯 하는 전기적 현상입니다.

    토마스 타운센드 브라운독일폴 알프레드 비펠드에 의해 1923년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8E%A0%EB%93%9C-%EB%B8%8C%EB%9D%BC%EC%9A%B4_%ED%9A%A8%EA%B3%BC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극 사이에 큰 전압을 인가를 시킨 뒤 한쪽에 방전이 가능하도록 샤프하게 해주면 방전으로 이온화된 기체가 이동하여 전극에 추진력이 생기는 듯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펠드 브라운 효과는 빛이 금속 표면에 충돌할 때, 그 표면에서 전자들이 방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효과는 1897년에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체드윅(John William Strutt, Lord Rayleigh)과 1900년에 독일의 물리학자 로베르트 비펠드(Robert Wichard Pohl)와 월터 브라운(Walther Nernst)이 동시에 발견하였습니다. 이들의 이름을 따서 비펠드 브라운 효과라고 부릅니다.


    비펠드 브라운 효과는 금속 표면에 빛이 충돌하면, 빛의 파장이 일정 이상일 때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방출됩니다. 이 때, 전자의 운동에 의해 금속 표면에서 일정한 에너지가 소비되며, 이 에너지는 전자가 방출될 때 전자의 운동 에너지로 전환됩니다. 또한, 전자의 방출 개수와 에너지는 빛의 강도와 파장, 금속의 종류, 온도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비펠드 브라운 효과는 전자를 방출함으로써 빛의 파장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빛의 파장을 측정하는 분광계(Spectrometer) 등의 기기가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비펠드 브라운 효과는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전자에 관한 연구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3

    비펠드-브라운효과란, 전기장을 가한 상태에서 전기전도성 물질(금속 등) 표면에 빛이 쬐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광전효과와 비슷하지만, 전자의 움직임이 관여하기 때문에 광전효과와는 다른 성질을 가집니다.

    전자는 전기장을 받으면 일반적으로 전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 때, 전자가 움직이는 방향에 수직으로 자기장을 가하면, 전자의 운동 경로가 곡선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것을 로런츠 힘(Lorentz force)라고 합니다. 로런츠 힘으로 인해 전자는 표면과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아 움직이게 됩니다.

    이렇게 전자가 움직이면서 표면에 부딪치면, 일부 전자는 표면에 남게 됩니다. 이 때, 표면에 머무르는 전자는 전자밀도를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표면 전위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표면 전위 변화는 전기장을 가한 상태에서 빛이 쬐면 발생하는 전위 차이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를 비펠드-브라운효과라고 합니다.

    비펠드-브라운효과는 측정 기기나 센서의 원리로 활용되며, 특히 자기장 강도나 전자 밀도와 같은 물리적 상태를 측정하는 데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