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신랄한갈매기새우깡이먹고싶습니다
신랄한갈매기새우깡이먹고싶습니다

참관수업에 참여하지 못 한 아이들의 심리

안녕하세요.

부모님이 시간이 부족해 참관수업 등을 참여하지 못 했을 경우

아이가 다른 아이에 비해 소외감을 느낄 수 있을까요?

나중에 이런 부분에 대해 아이가 물어봤을 때 어떻게 이야기해주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다른 친구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소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충분히 공감해 주세요

    그 시간에 못 갔을 경우 다른 놀이를 충분히 해줌으로써

    대안을 제공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참관 수업의 경우에는 요즘 학부모님들의 참석율이 아주 높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아이의 부모님이 오지 않게 되면 소외감을 느낄 수 밖에 없을겁니다. 이는 아이에게는 아주 중요한 시간이기 때문에 이를 소중하게 해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아이에게는 평생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진짜 힘든게 아니라면 아이를 위해서 시간을 꼭 비워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사진으로도 남는것으로 성인이 되어서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학급에서 참관수업에 참여하는 정도에 따라 다른 반응일 듯 합니다. 고학년이 되어도 참관 수업에 많이 참여하는 학교라면 아이들이 많이 서운해 하고, 5학년도 간간히 우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참관수업때 참여도가 높지 않은 학교라면 아이들이 크게 개의치 않는 경우도 많으니 아이에게 부모님의 상황을 잘 설명해주시고, 다음번에는 참석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다고 말해주는 정도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참관 수업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아이는 소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참관 수업은 부모와 아이가 함께 소통하고, 부모가 아이의 학습 과정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모가 참석하지 않으면 아이는 친구들과 비교하여 자신이 소외되고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의 나이나 성격에 따라 이러한 감정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부모의 부재가 정서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합니다. 아이가 나중에 이러한 부분에 대해 질문했을 때는, 부모가 바쁘고 여러 가지 일을 잘 해내고 있다는 것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엄마와 아빠는 항상 너를 생각하고 있고, 너의 모든 활동에 대해 많이 이야기해 주고 있어. 때로는 다른 일들이 많아서 함께하지 못하지만, 너의 성장을 항상 응원하고 있어."라는 식으로 대답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아이가 느낄 수 있는 소외감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부모가 항상 지원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부모가 아이의 참관수업에 참석을 하지 못할경우 아이들은 실망을 하거나 슬픔을 느낄수 있습니다. 또한 참관수업에 다른 친구의 부모님이 참여하는 모습을 볼때 아이의 마음이 위축되거나 소외감이 들수도 있으며 마음 한구석 부러운 마음이 들수도 있습니다. 되도록 이면 아이의 참관수업에 참여해서 아이의 활동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자존감도 향상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부득이한 상황으로 인해 참관수업에 가지 못할경우는 아이가 서운한 마음이 들더라도 이해할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다면 아이도 상황을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관심이 아이의 활동에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경우, 자신의 경험이 무시받는 듯한 기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외감은 친구들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니 참고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님이 참관수업등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아이는 다른 친구들과의 부모의 참여를 비교하면서 소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부모님이 참석하지 않은 수업이나 행사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성격, 환경,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이 참석하지 않아서 소외감을 느끼는 아이들은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참석하지 못한 이유를 솔직하게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엄마 아빠가 일 때문에 바빠서 이번에는 참석하지 못했지만, 다음에는 꼭 함께 참석하자"라고 말해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친구나 선생님 등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를 통해 아이가 자신만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아이가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돕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나중에 이러한 문제에 대해 물어봤을 때는 솔직하게 말하고 이해시켜 주는 것이 좋으며, 앞으로는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약속을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를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