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게릴라성 폭우는 어떤 이유로 생기는 것인가요?

매년 여름철만 되면 우리나라에는 게릴라상 폭우가 정말 많이 내리는 거 같은데 이런 게릴라송 보고는 어떤 이유로 생기는 것인가요?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조훈 전문가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게릴라성 폭우는 여름철에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많은양의 갑작스러운 비로서 짧은 시간에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쏟아내게 되지요! 여름철에는 지표면이 태양열에 의해 강하게 가열되며 지표면이 뜨거워지면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가열되어 상승하게 되고 높은 고도에 도달하면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서 상승기류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 대기를 불안정하게 하여 적란운과 같은 비구름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여름철에는 고온으로 인해 대기중의 수증기 함량이 높아지고 대기중에 풍부한 수증기가 존재하게 되면 상승하는 공기가 응결하여 구름을 만들어내게되면서 충분히 발달하면 강한 비를 만들어내게 되는것이지요! 산악지역 근처나 해안근처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자주 일어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게릴라성 폭우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빠르게 상승하여 고도가 높아지면서 응결되어 비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산지대나 산악 지역에서 발생하는데,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비로 변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