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음식물 처리 미생물 가루의 원리가 궁금해요
제목 그대로 호기성 미생물 가루가 음식물을 분해하는 원리가 뭔가요? 학교에서 스티로폼 박스에 배양토와 컴포스트 가루, 삶은 채소를 넣고 실험을 했는데 깔끔히 분해가 되어서요. 근데 원리를 모르겠어요 ㅠㅠ 어떤 과정을 거쳐서 분해가 되는 거죠??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전문가입니다~!
실험하셨던 호기성 미생물은 말그대로 공기를 좋아하는 미생물이죠
이 미생물은 산소를 이용해 음식물 속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을 분해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은 음식물을 에너지원으로 삼고, 그 결과로 물, 이산화탄소, 열 같은 부산물이 생겨요.
그래서 음식물이 점점 사라지고 흙처럼 변하는 거예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저도 집에 음식물처리기를 쓰는데 잘 분해가 되서 많이 찾아봤습니다.
미생물이 분해한다는건 알았지만 특정 음식의 경우는 흔적도 없이 사라져서 신기했습니다.
호기성 미생물로 이루어진 가루인데, 이 호기성 이라는 것이 산소를 써서 호흡하는 미생물을 뜻합니다. 산소가 많은 환경에서 산소를 사용하여 분해를 하다보니 다른 미생물보다 유기물질을 처리하는 속도가 빠르고 냄새가 적기 때문입니다.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에 붙어 소화효소를 분비하는데 이 효소가 단백질을 분해하여 포도당 크기로 작게 만든 뒤 미생물이 흡수하여 생존에 사용하게 됩니다. 그에 따른 부산물은 물과 이산화탄소, 그리고 퇴비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