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사일러스
사일러스

조선의 수군은 어떤 체제였나요?

이순신 관련 영화들을 보면서 생긴 의문인데,

조선의 군사 제도가 육군 위주로 5위, 5군영, 속오군 형식의 체제가 있었다고 하는데, 수군은 어떤 체제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수군은 고려말 왜구를 격퇴하기 위해 수군이 강화, 확대되면서 육군으로부터 독립하여 수군절도사를 정점으로 수군첨절제사,수군만호로 이어지는 체제 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수군의 편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각 도마다 주진, 거진, 제진을 두었으며, 지휘관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주진 - 수군절도사= 수사

      -거진- 수군첨절제사

      -제진 - 만호
      수사는 대개 현지 관찰사와 병마절도사가 겸임했습니다. 다만, 전라도와 경상도에는 세 명이 배치되었는데, 1명은 관찰사가 겸하며 나머지 2인은 무장으로서 좌(左), 우(右) 2명이 임명되었고 수군 만호도 더 많았다. 경기도와 충청도는 2인으로 1명은 관찰사가 겸하고 나머지 1명은 정직 무관이 임명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