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페퍼민트
페퍼민트22.09.01

생물학정 종과 교잡종대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생물학적 종의 개념상 정의는 생식 가능한 자손을 낳았을 때 같은 종으로 여긴다고 알고있는데, 교잡종대에서 두 종이 생식 가능한 자손을 낳는 경우는 어떻게 설명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교잡종대에서 두 종이 생식 가능한 자손을 낳는 경우는, 보통 한 종의 염색체 수가 다른 종보다 높아서 자손이 생식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는 종이 환경적인 이유로 서로 다른 생식기간에 생식활동을 하여 자연적으로 생식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교잡종대에서 생식 가능한 자손을 내더라도, 이들은 유전자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종보다는 덜 안정적인 진화적 지위를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