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7

안개가 새벽에 많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일교차가 큰 날씨에 주로 새벽시간에 저수지나 강이 있는 근처 도시에서는 안개를 자주 볼 수 있는데요 어떠한 과학적인 원리 때문에 생기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23.12.28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와 물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안개가 생깁니다.

    낮동안에는 태양열로 물이 증발에서 공기에 습기가 스며듭니다.

    밤이 되어서 온도가 떨어지면 공기에 있던 수증기가 포화상태가 되면서 물방울로 맺히기 시작합니다.

    습기가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면서 이슬점에 도달하면서 본격적으로 응결하기 시작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온도 변화: 일출 전후로 대기 중의 온도가 갑자기 떨어져 습도가 높아지면서 안개가 형성됩니다. 밤에는 지표면이 냉각되어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안개가 형성되는데, 이것이 해가 떠오르면서 지표면과 대기가 서로 더 따뜻해지면 안개가 사라집니다.

    2. 대기 안정도: 새벽에는 대기 안정도가 높아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게 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기 안정도가 높아지면 대기 중의 수증기가 쉽게 상승해서 안개가 형성됩니다.

    3. 대기 유동성: 새벽에는 대기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안개가 지표면에 오래 머무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밤에는 지표면이 냉각되어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안개가 형성되는데, 이것이 해가 떠오르면서 지표면과 대기가 서로 더 따뜻해지면 안개가 사라지지만, 대기 유동성이 낮으면 안개가 더 오래 지속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가 새벽에 많이 생기는 이유는 지표면이 냉각되기 때문입니다. 맑은 날 밤에는 태양열이 없어 지표면이 냉각됩니다. 지표면이 냉각되면서 공기의 온도도 내려가게 됩니다. 이때,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안개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맑은 날 밤에 지표면이 냉각되면서 안개가 생성되기 때문에, 새벽에 안개가 많이 생기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