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꿀벌의 집을 보게 되면 육각형으로 되어 있던데요 왜 육각형으로 만드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야생에서 서식하는 꿀벌들의 집을 보게되면 집의 모양이 육각형으로 되어 있던데요 이렇게 집을 육각형으로 짓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꿀벌의 벌집이 육각형으로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진화론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은 벌집에 대해   “육각형 벌집은 낭비가 전혀 없는 완벽한 구조물이다.”라는 찬사를 내놓았는데요, 벌집의 육각형 구조는 매우 안정적이고, 재료에 비해 넓은 공간을 얻을 수 있어 경제학적으로 완벽한 구조물이라는 말입니다. 하지만 육각형 구조는 벌이 만든 것이 아니라 물리적 힘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영국 카디프대 부샨 카리할루가 박사팀은 벌집의 육각형 구조가 표면장력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내 네이처에 발표했는데요, 연구팀은 벌이 만들고 있는 벌집에 연기를 불어넣어 벌들을 내쫓은 뒤 내부 구조를 관찰해본 결과 갓 만들어진 공간은 원형모양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반면 만들어진지 며칠이 지난 공간은 육각형의 모양을 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원형이었던 공간이 며칠 만에 육각형으로 변한 것에 대해 연구진은 ‘표면장력’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단 벌들이 원형모양의 벌집을 만들고 나면 체온을 이용해 밀랍을 가열시키는데요, 밀랍의 온도가 45℃에 이르면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는데, 이 때 다른 공간의 면 3개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서 표면장력이 작용하면서 육각형 모양으로 변한다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공간효율성인데, 육각형구조는 빈틈없이
    공간을 만들어낼수있는 형태이고, 동일면적대비
    더 많은 방을 지을수있는 형태
    입니다.
    그래서 꿀저장이나 애벌레의 생활공간 등 번식공간으로 활용할수있습니다.

    두번째는 재료절약인데, 마찬가지로
    벽의길이가 가장 짧은모양중하나입니다.

    세번째는 구조적안정성인데 육각형은 삼각형 6개가 합쳐진모습이고
    구조적으로 튼튼한 트러스구조를 닮아있습니다.
    서로의 방이 지지를 해주기때문에 집 전체가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꿀벌이 육각형 집을 만드는 이유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최대한 많은 꿀을 저장하기 위해서입니다.

    육각형 구조는 안정적이고 강도가 높아 최적의 형태입니다.

  • 벌집이 육각형 모양인 이유는, 다른 도형에 비해 가장 효율적인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는 밀랍이 단단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서로 이어지며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형태가 육각형입니다.

    육각형은 셀의 면적이 최대가 되면서 셀 간 경계면이 최소가 되는 도형입니다. 즉, 셀 하나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원, 다시 말해 꿀을 저장하기 위한 벽돌 혹은 벌집을 만드는 왁스 등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육각형 구조는 셀들을 서로 겹치지 않게 배열할 수 있어서 한정된 벌집 내부에 최대한 많은 셀을 담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벌집은 자연의 경제성과 효율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육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꿀벌이 집을 육각형으로 만드는 이유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재료를 절약하기 위함입니다. 육각형은 동일한 면적을 유지하면서도 틈이나 공간 낭비가 없고, 다른 다각형보다 가장 적은 양의 밀랍을 사용하여 최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또한, 육각형 구조는 강도가 높아 무게를 견디기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꿀벌은 본능적으로 육각형 모양의 집을 짓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