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젊은매미372
젊은매미37223.04.30

고려말에 정몽주는 어떤 신하였나요

고려말에서 조선으로 넘어갈때 정몽주라누 신하가 있었는데 정몽주는 고려에 충신으로 알고있는데 정몽주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3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고려후기 문하찬성사, 예문관제학, 인물추변도감제조관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1337년(충숙왕 복위 6)에 태어나 1392년(공양왕 4)에 사망했다. 고려말 친원파가 득세하던 상황에서 신진사류로서 친명정책을 주장했고, 명와 왜에 직접 사절로 가는 등 담대한 외교가로서 활약했다. 성균관의 사성으로서 신진 사류를 양성하는 데도 크게 기여했다. 기울어가는 고려 국운을 바로잡고자 국가기강 정비와 민생 안정에 노력했다. 이성계의 위세와 명망이 날로 높아지고 그를 추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자 이들을 제거하려다가 역으로 살해당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몽주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기존의 체제를 유지 하면서 개혁을 하자고 주장한 정치인이고


    정도전은 기존체제를 유지 하면서 개혁을 하는 것은 불가능 하므로 기존체제를


    뒤집어 엎어야 개혁이 가능 하다는 정치인이었습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보자면 정몽주가 옳았습니다.


    정도전의 생각대로 고려왕조를 망하게는 했는데 기존의 기득권자들이 차지하고 있던


    자리를 신진사대부가 차지를 하고는 신진사대부가 다시 기득권자가 되었을뿐


    서민들에게는 고려시대 보다 더 좋아진것도 없었습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이상적인 정치를 꿈 꾸었던 정도전은 이방원에게 살해를 당했구요.


    그래서 나는 정몽주의 생각이 더 옳았다고 생각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도전⋅남은⋅조준⋅윤소종이 태조를 추대할 뜻이 있었으나, 정몽주가 홀로 충성과 의리를 내세워 스스로 떨쳐 일어나 고려 왕실을 보전하고자 하였습니다.

    한 때 이방원의 스승이기도 한 정몽주는 선죽교에서 조영규에 의해 피살됩니다.

    성리학에 뛰어나고 과전법에 반대하고 고려 왕조 마지막 충신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정신이 아이러니하게도 조선 사대부 사림에게로 이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고려 말의 학자이자 관리로, 학문, 외교, 경제, 군사, 정치, 인품 모든 면에서 특출난 고려 말기의 고려 최후의 보루 입니다.

    선비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실제 왜구 토벌에도 공을 세워 문무를 겸비한 인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의 정국은 대단히 혼란스러웠으며 더군다나 우왕과 최영장군은 명나라를 치기 위해 군대를 동원하여 이성계를 대장군으로 임명하여 진군의 나팔을 불어대는 등 극심한 혼란기에 3은으로 불리우는 충신들이 있었습니다. 목은 이색 야은 길재 포은 정몽주가 그들입니다. 목은 이색의 문하생으로특히 정몽주는 삼봉 정도전과 달리 불사이군을 주장하며 고려의 충신으로 남기를 원했습니다. 그래서 태종 이방원의 설득과 회유에도 불구하고 넘어가지 않았고 결국 선죽교에서 이방원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