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답한곳에 있거나 열기가 있는곳에 가면 얼굴에 빨개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답한곳에 있거나 열기가 있는곳에 가면 얼굴에 빨개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는 항상 답답하거나 열기가 있는 곳에서는 얼굴이 빨개지던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에반해 그런곳에 가도 얼굴이 빨개지거나 하지 않는 사람은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답답하거나 열기가 있는 환경에서 체온이 상승하면, 몸은 열을 발산하기 위해 혈관을 확장시킵니다
얼굴은 다른 신체 부위보다 혈관 분포가 많고 피부 표면에 가깝기 때문에 쉽게 붉어집니다
또한 열기나 답답함으로 인해 교감신경이 자극되면 혈관이 확장되어 홍조가 나타납니다
일부 사람들은 혈관의 취약성으로 인해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혈관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얼굴이 쉽게 빨개지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는
혈관의 탄력성이 좋아 온도 변화에 덜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의 반응 정도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답답한 곳이나 열기 있는 곳에서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혈관 확장 때문으로, 몸이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 표면 혈관을 확장시켜 열을 방출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얼굴은 피부 아래에 혈관이 밀집되어 있어 이런 반응이 더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혈관 반응성과 피부 두께가 달라서 일부 사람들은 같은 상황에서도 빨개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답답한 곳이나 열기있는 곳에선 몸의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체온이 올라가면 그 과도한 열을 발산하기 위해 혈관이 확장되면서 홍조가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얼굴이 빨개지는 현상은 혈관이 확장되면서 피부로 더 많은 혈액이 흐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답답하거나 열기가 있는 환경에서는 체온 조절을 위해 혈관이 확장되고, 그 결과 얼굴이 빨개질 수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생리 반응이며, 체온이 올라가는 상황에서 몸이 열을 방출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얼굴이 빨개지는 정도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는데, 이는 각자의 피부 두께, 혈관 구조, 자율신경계 반응 등의 차이로 인해 일부는 덜 빨개지거나, 심지어는 전혀 변화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피부 색깔과 민감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부가 얇거나 민감한 사람의 경우 더 빨리 또는 많이 빨개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피부가 두껍거나 반응이 덜 민감한 사람들은 변화가 덜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답답한 환경에 노출이 될 경우에는 답답함에 의한 영향으로 몸의 생리적 반응으로 얼굴 쪽으로 가는 혈류량이 증가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열기가 있는 곳에 가면 외부의 뜨거운 온도에 의해서 얼굴 피부도 영향을 받고 해당 부위로 혈액이 가는 것이 늘어나게 되면서 얼굴이 붉어지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한 반응이 나타나는 정도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많이 나며 정확히 왜 그러한 차이가 나는지는 명확하게 알지는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