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워서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폰을 할 경우
누워서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폰을 할 경우..
폰을 잡고 있는 팔은 팔꿈치까지 침대에 닿아있는 자세
이럴 때. 목과 어깨 어떤 근육이 충격이 많이 가나요?
혹시 오랫동안 이런 자세로 폰을 할 경우 회전근개 염증과 물참 증상이 생길 수도 있을가요?
그리고 목은 사각근이 많이 자극되나요?
제가 누웠을때 목이물감과 목조이는 졸리는 느낌이 들고 회전근개 염증.물참 증상이 있습니다...
생각해보니 낮에는 컴터 근무를..
밤이나 쉴 때는 거의 대부분을 누워서 폰을 하다보니 이런 증상이 생긴게 아닌가 싶어서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누워서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드는 자세는 목과 어깨, 특히 승모근(상부), 견갑거근, 극상근, 소흉근, 사각근 등에 만성적인 부담을 주는 비정상적인 자세입니다. 팔꿈치만 침대에 닿고 손목과 손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 어깨 관절은 지속적인 견갑골 고정 및 외회전 상태로 긴장하게 되며, 이때 회전근개(특히 극상근, 견갑하근)가 과도하게 사용되게 되죠. 장시간 반복될 경우 염증이나 힘줄의 마찰로 인해 회전근개염, 점액낭염(물참 증상), 심한 경우 부분 파열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개를 살짝 앞으로 내민 상태로 스마트폰을 오래 보는 습관은 사각근(전사각근, 중사각근)을 긴장시키고, 경부 신경 압박, 흉곽출구증후군 유사 증상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이 조이고 이물감이 느껴지는 증상은 경추부 근육의 지속적 수축으로 인한 근막통증 증후군이나 신경근 자극의 가능성도 있구요.
낮에는 컴퓨터, 밤에는 누워서 스마트폰 사용이 반복된다면 목과 어깨에 거의 휴식 없이 긴장이 지속되는 환경인 셈이므로, 원인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가능한 한 바른 자세 유지, 스트레칭, 사용 시간 조절이 필요하며, 이미 회전근개 증상이 있다면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진료를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