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예측이 어려운이유와 잦아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최근들어 대형산불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산불예측이 이렇게 어려운이유는 무엇이며 그리고 왜이리 잦아지게 된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산불 예측이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기상 변화나 바람의 방향, 습도 등 환경적 요소가 예측을 어렵게 만듭니다. 둘째, 인간의 실수나 고의적인 방화 등
예측하기 힘든 변수가 많습니다. 셋째, 산림의 상태나 식생, 지형에 따라 불길의 확산이 달라져 예측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최근 산불이 잦아진 이유는 기후 변화로 인한 고온 건조한 날씨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산림 파괴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또한, 산림 관리의 부족이나 소방 대응 체계의 한계도 산불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지구의 대기는 온실이 되었습니다. 단순히 연평균 기온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에서 만들어진 에너지가 대기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다시 반사되어 지구쪽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육지의 온도뿐 아니라 대기가 불안정해지게 된 것 입니다.
특히나 대기의 순환은 극지방과 적도의 온도차이로 진행되는데 극지방의 온도가 높아지게되면서 이러한 대기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정체가 발생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대기의 정체로 예측하지 못하는 가뭄, 홍수, 태풍, 천둥번개 등이 발생하여 산불역시도 발생하게 되면 빠른 풍속으로 인해 쉽게 번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산불 예측이 가장 어려운 이유로는 바람입니다.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바람은 산불로 인해 확산 경로와 속도를 예측하기가 불가능합니다.
산불의 원인은 주로 고온, 건조한 날씨로 인한 불이나기 쉬운 상태가 갖춰지며, 기후 변화로 인해
남쪽 고기압이 강화되어 강한 서풍과 강풍이 빈번해 지기 시작합니다.
또한 산림 인근지역 개발과 등산객, 쓰레기 소각등 인간의 활동으로 산불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산불 예측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날씨 변화가 너무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히 산속은 바람 방향이나 강도, 습도 같은 날씨가 수시로 변해서 불이 어디로 어떻게 번질지 정확히 알기 힘들어요. 또 산에 있는 나무나 풀 같은 '연료'의 종류나 상태, 그리고 산의 경사나 지형도 불길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는데, 이런 것들을 모두 정확히 파악하는 게 쉽지 않죠. 게다가 사람의 부주의나 방화로 시작되는 산불이 많다 보니, 이런 예측 불가능한 요인 때문에 더 어렵습니다.
그런데 왜 최근 들어 산불이 더 자주 발생하고 커지는 걸까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기후 변화'입니다. 지구가 점점 더워지면서 건조한 날씨가 길어지고 봄 가뭄이 심해지면서 산이 바싹 마르게 되는 거죠. 이렇게 건조해진 상태에서는 작은 불씨 하나가 순식간에 큰불로 번지기 쉬워요. 빽빽하게 우거진 산림도 불이 나면 더 빠르게 타오르게 만들고요. 거기에 산에 사는 사람들이나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부주의로 인한 불씨가 될 가능성도 커졌답니다. 결국 산불은 복잡한 자연 현상과 사람의 활동, 그리고 기후 변화라는 큰 흐름이 겹쳐서 점점 더 예측하기 어렵고 잦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