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도 주택청약저축 하시나요?!!!
로또처럼 무통장 청약도 많고 이제 이율도 예전만큼 높지는 않은데, 주택 청약 저축 다들 넣고 계신가요? 혹시 모르는 미래에 대비하기 위함인가요?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도 주택청약저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하고 유지하는 것이 여전히 의미가 있는지 고민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과연 요즘 사람들은 주택청약저축을 계속해서 넣고 있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주택청약저축의 현황과 이유를 살펴보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미래의 주택 마련을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청약 경쟁률이 높은 인기 지역에서는 주택을 얻는 것이 마치 '로또'처럼 어려운 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렇다 보니, 청약저축은 하나의 '보험'처럼 생각되기도 합니다. 지금 당장 큰 기대를 하진 않더라도, 나중에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 이율과 혜택 측면을 보자면, 요즘 주택청약저축의 이율이 예전만큼 높지 않은 건 사실입니다. 현재는 약 1.8% 내외의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는 과거에 비해 낮아진 수준입니다. 하지만 주택청약저축의 핵심은 단순히 금리가 아니라, 청약 가점과 당첨 확률에 있습니다. 청약 가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간 꾸준히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율보다는 이러한 점수를 고려해 지속적으로 납입하고 있습니다.
셋째, 무통장 청약과의 비교입니다. 최근에는 무통장 청약처럼 예치금 없이도 청약에 도전할 수 있는 방식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로또 아파트'로 불리는 경우에는 청약통장이 없어도 일정 자격을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어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실제로 당첨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여전히 주택청약저축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선택으로 여겨집니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입니다. 주택 시장의 변동성은 매우 큽니다. 따라서 주택청약저축을 통해 나름의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주택 시장의 흐름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통장을 통해 다양한 주택 구매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요즘도 주택청약저축을 유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율은 낮아졌지만, 청약 가점과 미래 주택 구매 가능성을 고려하여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물론 개인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청약저축은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주택청약저축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청약저축 계좌를 해지하거나 새로운 계좌를 개설하지 않고 있는데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낮은 이율, 청약 당첨 확률이 낮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세금 혜택과 이율 인상 등을 통해 청약저축 계좌를 유지하도록 장려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다른 투자로 자금을 옮기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네, 지금 당장은 청약이 메리트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청년 주택드림 청약 같은 뭔가 특수 청약이라면 굳이 이걸 해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꾸준히 유지하다보면 뭔가 청약의 기회가 생길 수 있고, 대출 연계도 되므로 오히려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청약저축은 청약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며, 이에 따른 소득 공제 혜택이 있기에 많이 가입하는 통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부탁드립니
청약 당첨 전까지 청약통장의 가장 큰 쓸모는 연말정산 소득공제라고들 한다.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에 무주택 세대주라면 1년 최대 96만 원을 소득공제로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년 납 입금액 240만 원의 40%인 96만 원 한도까지 공제를 적용하기에, 월 20만 원씩 맞춰 쌓아두면 소득공제를 최대치로 받을 수 있다.
무주택 세대주라는 사실은 은행에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을 가지고 가서, 과세기간의 다음 연도 2월 말까지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해야 인정받을 수 있다. 만약 청약통장 가입일로부터 5년 안에 해지하거나, 기간과 관계 없이 국민주택 85㎡ 규모를 넘는 주택에 당첨되면 소득공제 받을 때 적용된 납입금의 6%를 추징당하게 된다. 소득공제까지 받았다면 단순 해지에 조금 더 신중해야 하는 이유다.
https://kospomagazine.co.kr/bbs/board.php?bo_table=vol106&wr_id=7
감사합니다
청약 저축의 목적은 적금도 아니고 청약을 받기 위한 용도 한가지입니다.
아마도 대부분 성인은 하나씩은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은 언제 변할지 모르는데 혹시라도 또 통장이 필요한 시기가 왔을때 통장 가입기간때문에 가점이 깍이면 너무 아쉬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요즘도 주택 청약 저축에 대한 내용입니다.
요즘엔 무통장 청약도 많아지고 있고 이율도 경쟁력이 사라져서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여전히 한국의 아파트 청약은 청약주택저축이 기본이 되기에
하실 수 있으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청약과 같은 경우에는
다시 부동산 강세장 등이 온다면
유용하게 사용할 여지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가급적은 유지하시는 것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하고있습니다.
수도권은 경쟁률이 너무 높다고하긴하던데
지방에서는 아직 청약통장이 의미있기도 하고,
또 수도권도 사실 5년 10년뒤 정책이 바뀌어서 청약통장의 중요성이 높아질지 알수없기
저는 큰금액이 아니니 유지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주택 청약 저축을 하긴 하는데요 일단 재테크 목적은 아니고 그냥 딱 청약용이니 청약을 안넣을꺼면 진짜 할 필요가 없는 통장인건 맞는거 같습니다 주택청약저축은 청약을 할지 말지에 대한 개개인의 선택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예전 보다 중요도나 가치가 희석된 건 사실입니다.
집 값이 너무 오른 탓에 로또 당첨되도 실상 그것을 살 가능성이 희박해졌죠.
그래도 분명 혜택을 보는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장래에 꾸준이 자산을 증식하고 내 자산이 모자라면
가족, 지인 등의 도움을 통해 상호 협력하여 진행하는 경우도 많으니 일단 청약은 가입해놓는 것이 좋다고 보여집니다.
실 사례로 친구가 당첨이 되었고 가족들 투자와 지인들의 투자로 3년 뒤 팔아 투자금에 맞게 배분하였고
수익을 많이 보았습니다.
그 친구가 말하길 일단 되는게 중요하다. 되고 나서는 어떻게서든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을 해주었는데 많이 배웠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혹시 모를 미래에 대비하여 청약저축을 가입해서 들어놓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소액도 가능하니, 기회가 되시면 시작해보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 대로 청약저축 실익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분양가 상한제, 부동산 경기 하강 등의 이유 때문인데 그럼에도 아직 무주택자시고 40대 미만에 정기적인 소득이 있다면 세금 혜택도 있으니 유지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언제 또 다시 예전과 같은 시장이 될지 모르니 미래를 위해 청약통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큰 금액을 넣는것도 아니고 일단 넣어두면 이자도 나오니 오랜기간 묵힐 수록 점수도 쌓이고 해서 미리 만들어 두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청약저축 해지 및 신규가입자 수가 너무 줄어들어서 혜택이 소폭 상승했잖아요.(금리 3.1% 등)
그래서 저는 과거에 들어놓은 주택청약을 지속해서 들고 있습니다.
혹시 모를 미래를 대비하기 위함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