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한국채 장기물이 미국채 장기물보다 수익률이 높았던 이유는 뭔가요?

얼마 전까지 금리가 최고점을 찍었다가 금리 인하가 얼마 전부터 시작됐습니다. 그런데 금리 인하를 적극적으로 했던 미국채보다 한국채의 수익률이 훨씬 좋았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채권의 수익율이 높아야

    우리나라 채권에 대한 자금 유입이 됩니다.

    ㄹ우리나라가 금리가 낮다면 리스크를 감수하고

    우리나라에 투자할 요인이 적어지는 것으로

    최근에는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을 우리가 따라가지

    못하였던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채의 수익률이 좋다는 의미를 제가 잘 이해가 안되긴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미국은 9월에 50비피 인하해서 기준금리가 현재 5.00프로이고 우리나라는 25비피 인하해서 3.25% 입니다 장기채로 보면 올해내내 미국채 30년물 기준으로 4프로대 유지중이고 우리나라 30년물 금리는 어제기준 2.90% 정도 였습니다

    채권 투자수익률은 기준금리 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긴합니다 그래도 만기수익률 기준으로 본다면 미국채 투자수익률이 우리나라 국고채 수익률보다 좋은건 맞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주로 공급 측면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금리 인하 속도가 미국보다 더 빠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또한 미국은 재정적자 문제로 국채 발행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금리 하락에 제한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물가 안정과 환율 하락 등으로 채권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물의 수익률이 높았던것은 그만큼 한국 장기물 대비 미국 장기물의 신뢰도 및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안전하고 보장된 채권일수록 수익률은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한국은 WGBI 라는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되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됨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ETF나 펀드 중 WGBI지수를 추종하는 투자자금의 일부가 한국 국채를 매수하게 됩니다.

    매수세 유입 기대로 국채 가격 상승이 되었다고 볼 수 있죠.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하고

    질문자님의 성공투자 응원하며 답변 마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