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

기업이 잘 성장하고 있는데 상장폐지를 하는이유가 뭔가요?

기업이 잘 성장하고 있고 재무상태가 위험하지 않은 상황인데

공개매수를 진행해서 상장폐지를 진행하는 기업들이 몇몇 있었는데

이런 식의 상장폐지를 진행하는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성장하고 재무상태도 안정적인 기업이 공개매수를 통해 상장폐지를 추진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몇 가지 주요 이유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영권 강화

    상장된 기업은 주식시장에서의 거래로 인해 외부 주주들이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장폐지를 통해 회사를 비상장화하면, 주요 경영진이나 대주주가 외부 간섭 없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 경영권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배권을 굳히고 싶은 대주주가 상장폐지를 추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장기적 전략 수행

    상장기업은 매 분기나 연간 실적 발표와 같은 단기 성과 압박을 받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는 경우, 매 분기 실적에 대한 외부의 압박에서 벗어나 보다 자유롭게 장기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는 혁신적인 연구개발이나 대규모 투자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있을 때 유리합니다.

    3. 비용 절감

    상장 상태를 유지하려면 공시, 회계감사, 주주 관리 등의 관련 비용이 발생합니다. 비상장으로 전환하면 이러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비용 구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기업가치 평가 조정

    주식시장에서의 기업가치 평가가 실제 기업의 성장성이나 가치에 비해 낮다고 느낄 경우, 기업 입장에서는 비상장 상태로 돌아가 재평가 후 다시 상장하는 방법을 택하기도 합니다.

    특히, 프라이빗 애퀴티(PE) 등과 협력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인 후 재상장을 목표로 하기도 합니다.

    5. 자산 매각이나 구조조정 용이

    상장된 상태에서는 주주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구조조정이나 자산 매각이 어렵습니다. 상장폐지를 통해 민간 기업으로 전환하면 더 유연하게 사업 구조를 조정하고 자산 매각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6. M&A 또는 피인수 용이성

    기업을 인수하고자 하는 쪽에서는 비상장 상태의 기업이 더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인수 과정이 복잡하고, 인수 후에도 여러 규제와 공시 의무가 따르기 때문에 비상장화가 인수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상장폐지는 단순히 시장에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 변화와 장기적인 목표를 위한 선택일 때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상장폐지를 선택하는 이유는 주로 경영권 보호와 비용 절감 때문입니다. 상장된 기업은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지만, 주주들에게 경영 상태를 지속적으로 보고해야 하고 다양한 규제를 준수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기업 정보가 공개됨으로써 경영권 방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공개매수를 통해 주식을 회수하고 상장폐지하는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경영 효율을 높이고 독립적인 경영을 추구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장 폐지를 통해 외부 간섭을 줄이고 기업의 장기적인 방향성을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회사가 보다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자진상장폐지를 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주식시장에 상장해 있으면서 지켜야 하는 의무가

      많아서 자금을 조달하는 이득보다 오히려 이러한 요건을 갖추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 경우입니다.

    • 이처럼 자진 상장폐지를 통하여 결론은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런 경우 대주주가 바뀌거나 외부에서 사모펀드가 인수하면서 상장폐지를 자진으로 하는경우가 많은데요

    이는 재무상태가 매우 좋고 시장은 저평가로 낮은 주가를 유지할때 오히려 지분율을 100프로에 가깝게 시장에서 시가기준으로 공개매수로 진행하고 이에 포괄적주식교환으로 일정 지분 확보후 강제로 현금청산으로 소액주주들에게 해주게 됩니다

    이후 지분율을 100프로에 가까우니 재무상태가 우수하므로 비상장에서 의제배당확대와 유상감자행태로 대규모 배당을 확대하여 혼자 독단으로 차지하려는 목적하에 진행하기 위함입니다

    이후 비상장이므로 의사결정도 빠르고 빠르게 현금회수후 매각하는 절차를 갖기 위함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업이 잘 성장하고 있는데 성장 폐지를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장한 다는 것은 여러 가지 규제를 받아야 합니다.

    기업 공개도 하고요.

    몇몇 기업들은 이런 것을 싫어하는 곳들이 있고 이런 곳은 상장 폐지를 해서라도

    규제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잘성장하는데 상장폐지를 하는 것은 주식을 시장에 상장할 필요없이 자신들의 자본으로 회사를 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장을 하게되면 주주총회를 통해 의결해야하는 복잡함이 있습니다.

  • 최근에 그런 케이스가 간혹 있는데 대부분 사모펀드 같은 곳에서 기업을 인수한 뒤에 자체 상장 폐지를 시켜서 기업을 개혁하고 정책 변화와 구조조정을 극심하게 한 뒤에 다시 기업을 재판매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구조조정을 심각하게 하고 체질 개선을 하기 위해서 그리고 빠른 결정 과감한 결정을 하기 위해서 상장 폐지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