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짱기이즈백
짱기이즈백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몇프로가 적정할까요?

오늘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제 우리나라와 1~1.25% 차이가 나는데요. 제가 알기로 1%이상은 위험하다는 것으로 아는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보다는 금리가 높아야

      외인의 자본유출 및 원달러환율 급등 등을

      막을 수 있습니다.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 경제와

      미국과의 경제 등을 고려하였을 떄, 최소 0.75% 정도 차이가 나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만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는 우리나라가 더 높은 것이 일반적이며 현제와 같은 상황은 드문 상황입니다. 단, 한국은행의 경우 질문자님처럼 1%내외의 차이까지는 관리감독이 가능하다고 발언함에 따라 1%내외로는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미국보다 기준 금리가 낮은 것조차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미국보다 한국의 기준 금리가 높아야 한국에 투자한 자금을 미국으로 빼지 않을 이유가 생기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물가상승이 한국보다 높기에 금리 역전기에도 외인 자금이 빠져나가지 않고 버티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 CPI가 내려오고 있는 점, 우리의 물가 상승률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보다 낮은 기준 금리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경기를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의 금리 인상 여력이 많지 않고, 미국 금리가 더 올라가지 않고 내려와주기를 바래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총재가 한미 금리차이가 급격하게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1%정도의 금리차이는 자본이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최근 급격하게 상승하던 환율도 다시 하락한 것을 확인해보면 현재와 같은 금리차이는 크게 위험요소로 작용할거 같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차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은 없습니다. 각 국가가 처한 경제 상황이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어제 미연준에서 금리를 0.5% 올리면서 한국의 4% 금리와 1.5% 내외 차이가 나게 되었습니다. 미국 금융 시장을 추종하는 한국으로서는 이 정도의 금리 차를 유지하는 것은 환율과 금융시장 및 물가에 부정적입니다. 아마 내년 1월 금통위에서 소폭 금리 인상이 유력합니다. 그러나 미국의 기준 금리 만큼 인상은 국내 경제 여건 상 쉽지 않습니다.

      미국과 매우 친한 일본의 경우 아직까지 제로 금리를 유지하고 있고 미국과 패권 싸움 중인 중국은 오히려 금리를 내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