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아이티처럼 무정부 국가가 되면 국가 경제는 끝났다고 봐야 할까요?

아이티는 2021년 대통령 암살 이후 무정부 국가가 되다시피해서 폭력사태도 늘고, 수도를 떠나는 사람도 많다던데요. 이처럼 국가 운영상황이 마비되면 기관이나 개인들이 국가 경제를 지켜낼 방법은 없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무정부 상태가 된다면 이에 따라서

      치안 등도 엄청나게 불안할 것이고 이에 따라서

      국가경제 자체도 망가지기에 해답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정부 국가에서 경제 활동은 개인과 단체의 자율적인 결정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규제할 정부나 공권력이 없어 대다수는 피해를 입고, 개인과 단체의 힘에 논리에 좌우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정부 국가가 된 이후에는 실질적으로 외부 개입 없이 개인들이 국가를 지켜내기는 어렵습니다.

      현재 아이티의 경우, 무정부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갱단과 경찰 등이 적극 대치 중이나 외부 개입 없이 정싱화되기는 어려울 듯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이티와 같이 무정부 국가가 되는 경우에는 사회를 통제하거나 경제를 이끌어나가게 되는 경제정책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내홍을 겪고 제대로된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는 해당 국가의 경제는 무너지게 될 것이라고 봐야 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정부 국가란 정부나 중앙 국가 기관이 없는 국가를 가리킵니다.

      이는 일종의 이상적인 개념으로서, 현실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결론적으로, 무정부 국가에서 국가 경제가 "끝났다"고 보아야 할지는 해당 국가의 상황과 시장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시장 경제의 자유와 경쟁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경우에는 경제가 번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회적 및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가 무정부 상태에 빠지거나 정치적 불안이 지속되는 경우, 국가 경제는 매우 위험에 노출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정부의 기능이 마비되어 정책 수립과 시행, 경제 활동의 지원이 어려워지며, 투자와 생산성이 감소하고 물가가 급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가 경제를 지키기 위한 방법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국제기구나 다른 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임시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무정부 국가가 되면 국가 경제는 끝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정부가 없이 국가의 경제가 유지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렇기에 국가 단위의 경제는 무너지겠지만

      지역 단위의 경제는 유지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지어 북한같은 폐쇄적인 나라에서도 장마당이라는 특유의 경제가 존재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