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

전파가 콘크리트나 철판등을 통과 못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전파는 콘크리트나 철판등을 통과하지 못하던데요.

왜 통과하지 못하는지

어떤 과학적 원리로 이런 재료를 통과하지 못하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전파가 콘크리트나 철판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유는 전파의 성질과 재료의 특성 때문입니다. 전파는 전자기파로, 그 에너지는 물질에 흡수되거나 반사될 수 있습니다.

    철판은 금속으로, 전도성이 매우 뛰어나 전자기파를 흡수하고 반사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이는 금속 내부의 자유전자가 전파의 전기장을 막아버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콘크리트는 금속만큼은 아니지만, 두께와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나 금속성 물질 때문에 전파의 에너지가 흡수되고 반사됩니다. 전파가 물질을 통과할 때, 물질에 의해 에너지가 감쇠되거나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호가 약해지거나 아예 전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파는 주파수와 해당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상호 작용합니다. 콘크리트와 철판은 전파를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성질이 강한데, 이는 두 가지 주요한 이유 때문입니다. 첫째, 이 재료들은 높은 전도성과 밀도를 가지고 있어 전자기파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쉬운 환경을 만듭니다. 둘째, 철판과 같은 금속 재료는 전자기파를 반사하기 쉽습니다. 금속 표면에 전자기파가 닿으면 전자들이 이동하여 반대 방향으로 전파를 반사하게 됩니다. 이 두 가지 특성 때문에 전파가 콘크리트나 철판을 쉽게 통과하지 못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파가 콘크리트나 철판 등을 잘 통과하지 못하는 이유는 이들 물질의 전기적, 자기적 특성 때문입니다. 철판과 같은 금속은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있어 전자기파가 접촉할 때 전류가 흐르며, 이는 전파를 반사시키거나 흡수하여 감쇠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콘크리트는 다소 다르지만, 내부에 포함된 수분과 금속 보강재가 전파를 흡수하고 산란시켜 통과를 어렵게 만듭니다. 전파의 주파수, 물질의 두께와 밀도 등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에 따라 건물 내부에서도 전파가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전파는 파장입니다. 장애물을 지나게 되면 굴절이 이뤄지기 때문에 전파신호가 변형 혹은 약해집니다.

    이는 전파의 파동과 세기를 강하게 하면 신호 전달이 뚫고 되기는 합니다.

    다만 현행법상 두꺼운 콘크리트를 뚫으려면 강한 신호가 필요한데 이게 사람에게 부작용을 줄수 있어 건축법 등으로 규제가 되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파가 콘크리트나 철판 같은 재료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유는 전파의 파장 재료의 밀도 그리고 재료의 전기적 특성 때문입니다. 콘크리트나 철판 같은 재료는 밀도가 높고 전도성이 강한 물질로 전파가 이들 재료를 만나면 에너지가 흡수되거나 반사됩니다. 특히 철판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자기파가 통과할 때 전자기파의 에너지가 전자들을 진동시키며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전파가 더 이상 투과하지 못합니다. 콘크리트는 그 자체로도 밀도가 높고 내부에 포함된 철근이 전파를 차단하는데 이는 금속의 전자들이 전자기파를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성질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전파는 이러한 재료를 투과하는 대신 에너지를 잃거나 반사되어 약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파는 매질을 통과할수 있는재질과 아닌게 있는데요. 콘크리트의 시멘트나 철판의 탄소재질은 전파가 통과할수 없는 재질이기 때문이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