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

재무제표에서 연결기준이라는 말은 어디까지 포함하나요?

재무제표를 보다 보면 연결기준이라는 말이 있던데 연결기준은 자회사 등의 매출도 포함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연결기준이라는 말은 어디까지의 자회사를 포함하나요?

계열사 내에 있는 모든 자회사을 포함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홍나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결기준'이란 재무제표에 나온 숫자가 그 회사의 종속기업의 재무수치까지 포함한 것을 의미합니다.

    당해 법인이 발행한 주식총수의 과반수의 주식을 실 질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타법인이 있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당해 법인을 실질적으로 지배하 고 있는 타법인이 있는 경우에, 그 타법인은 지배회사가 되고 당해 법인은 종속기업이 됩니다. 주식회사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시행령에 의하면 주식회사가 당해 회계연도말 현재 다른 주식회사의 경제활동에서 효익을 얻기 위하여 재무정책과 영업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 을 가진 주식회사를 지배회사, 그 다른 회사를 종속기업이라 합니다. 이 종속기업의 재무상태를 포함한 재무제표를 연결 재무제표라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되는 기준은 해당회사에 대한 실질 지배력을 행사하게 되는지의 여부로 판단하게 됩니다.

    여기서 실질지배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자회사의 소유지분율로서 판단하게 되는데, 해당회사의 지분중에서 20%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면 실질지배로 보고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대상이되며, 20%미만을 보유하였다면 연결재무제표 작성 대상외의 기업으로 처리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연결재무제표(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는 자회사 또는 종속회사의 재무제표를 내부 거래를 제거한 뒤 모회사 재무제표와 합친다고 보시면 됩니다.

    연결 기준은 일반적으로 50%+1주의 지분을 가진 종속회사에 해당하나 최대 주주이거나 최대 주주가 아니더라도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연결 대상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재무제표에서 자회사 연결기준이라은 것응 지배회사(모회사)와 종속회사(자회사)의 사업실적을 하나로 묶어서 만든재무제표를 뜻 합니다. 여기서 지배·종속은 지분율 50%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모회사가 자회사(종속회사)의 지분을 50% 초과하여 보유한다면, 연결재무제표에는 모회사와 자회사의 매출, 비용, 순이익을 합산하여 표시하고, 순이익에 지배기업의 주주 지분을 별도로 표시합니다.